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고장 지식 추출 장치(FAILURE KNOWLEDGE EXTRACTING DEVICE)

  • 기술번호 : KST2017011101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고장 지식 추출 장치는 고장 지식 표현 모델 저장부, 전처리부, 성분 추출부 및 문맥 추출부를 포함한다. 고장 지식 표현 모델 저장부는 고장 분석 문서에 포함되는 고장 문맥을 나타내는 문맥 컨셉들 및 문맥 관계들을 정의하는 고장 문맥 층 및 고장 문맥에 포함되는 성분을 나타내는 성분 컨셉들 및 성분 관계들을 정의하는 제품 성분 층을 포함하는 고장 지식 표현 모델을 저장한다. 전처리부는 추출된 메타 정보에 기초하여 고장 분석 문서에서 추출된 문장들을 문맥 컨셉 인스턴스들에 할당하고, 문맥 컨셉 인스턴스들을 포함하는 제1 고장 지식 표현을 생성한다. 성분 추출부는 문장들에 포함된 용어들과 성분 컨셉들을 매칭하여 용어들에 상응하는 성분 컨셉 인스턴스들을 추출한다. 성분 추출부는 성분 컨셉 인스턴스들을 제1 고장 지식 표현에 추가하여 제2 고장 지식 표현을 생성한다. 문맥 추출부는 어휘-의미 패턴에 기초하여 성분 컨셉 인스턴스들로부터 추출된 제2 문맥 컨셉 인스턴스들을 제2 고장 지식 표현에 추가하고, 제1 및 제2 문맥 컨셉 인스턴스들 및 성분 컨셉 인스턴스들 간의 관계 인스턴스들을 제2 고장 지식 표현에 추가하여 제3 고장 지식 표현을 생성한다.
Int. CL G06F 17/30 (2016.02.06) G06F 17/27 (2016.02.06)
CPC G06F 16/35(2013.01) G06F 16/35(2013.01) G06F 16/35(2013.01) G06F 16/35(2013.01) G06F 16/35(2013.01) G06F 16/3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50188726 (2015.12.29)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7-0078332 (2017.07.0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효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전상민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영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 *층 **세기특허법률사무소 (역삼동, 세일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5.12.29 수리 (Accepted) 1-1-2015-1283669-72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4.24 수리 (Accepted) 4-1-2019-5081392-49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고장 분석 문서에 포함되는 고장 문맥을 나타내는 문맥 컨셉들 및 문맥 관계들을 정의하는 고장 문맥 층(Failure Context Layer) 및 상기 고장 문맥에 포함되는 성분을 나타내는 성분 컨셉들 및 성분 관계들을 정의하는 제품 성분 층(Product Component Layer)을 포함하는 고장 지식 표현 모델을 저장하는 고장 지식 표현 모델 저장부;상기 고장 분석 문서에서 메타 정보 및 텍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텍스트를 복수의 문장들로 분리하고, 상기 메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문장들을 제1 문맥 컨셉 인스턴스들에 각각 할당하고, 상기 제1 문맥 컨셉 인스턴스들을 포함하는 제1 고장 지식 표현을 생성하는 전처리부;상기 문장들에 포함된 용어들과 상기 성분 컨셉들을 매칭하여 상기 용어들에 상응하는 성분 컨셉 인스턴스들을 추출하고, 상기 성분 컨셉 인스턴스들을 상기 제1 고장 지식 표현에 추가하여 제2 고장 지식 표현을 생성하는 성분 추출부; 및어휘-의미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성분 컨셉 인스턴스들로부터 추출된 제2 문맥 컨셉 인스턴스들을 상기 제2 고장 지식 표현에 추가하고, 상기 제1 및 제2 문맥 컨셉 인스턴스들 및 상기 성분 컨셉 인스턴스들 간의 관계 인스턴스들을 상기 제2 고장 지식 표현에 추가하여 제3 고장 지식 표현을 생성하는 문맥 추출부를 포함하는 고장 지식 추출 장치
2 2
제1 항에 있어서,상기 고장 지식 표현 모델은 엔지니어들로부터 수집된 정보 요구(Information needs), 기술 용어집(Technical terms) 및 상기 고장 분석 문서의 분석 정보(Failure analysis document)를 기초로 생성되고,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고장 분석 문서에 포함된 테이블의 열 명칭(Column name)이고,상기 성분 추출부는 상기 성분 컨셉들 인스턴스들 간의 성분 관계 인스턴스들을 추출하고, 상기 성분 관계 인스턴스들을 상기 제1 고장 지식 표현에 더 추가하여 상기 제2 고장 지식 표현을 생성하는 고장 지식 추출 장치
3 3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성분 추출부는 상기 문장들에 포함된 상기 용어들로부터 명사 청크(Noun chunk)를 생성하고, 상기 성분 컨셉들 중 상기 명사 청크에 포함되는 명사들과 매칭되는 관련 어휘(Lexical term)의 수가 최대가 되는 성분 컨셉을 이용하여 상기 명사 청크에 상응하는 상기 성분 컨셉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고장 지식 추출 장치
4 4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성분 추출부는 상기 문장들에 포함된 제1 용어가 상기 성분 컨셉들 중 다수의 후보 성분 컨셉들과 매칭되는 경우, 상기 후보 성분 컨셉들 중 상기 제품 성분 층 내에서 상기 문장들에 포함된 상기 제1 용어의 주변 용어들로부터 이미 추출된 성분 컨셉들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후보 성분 컨셉을 상기 제1 용어에 매칭하는 고장 지식 추출 장치
5 5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성분 추출부는 상기 문장들에 포함된 제1 용어가 상기 성분 컨셉들 중 다수의 후보 성분 컨셉들과 매칭되는 경우, 기술 용어집의 다의어를 학습한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Nave Bayesian Classifier)를 이용하여 상기 후보 성분 컨셉들 중 하나를 상기 제1 용어에 매칭하는 고장 지식 추출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산자원부 한국과학기술원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플랜트 O&M 지원을 위한 센서 기반 가상플랜트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