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실시간 피드백 하지 재활 시스템 및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01470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의 일 실시시예에 따른 하지 재활 시스템은, 피검사자에게 하지의 제1 운동 방향을 표시하는 지시 유닛; 상기 피검사자의 하지에서 발휘되는 힘을 측정하는 측정 유닛; 및 상기 제1 운동 방향 및 측정된 상기 힘의 방향에 비교하여 상기 발휘된 힘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평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시 유닛은 측정된 힘의 방향을 표시한다.
Int. CL A61B 5/11 (2006.01.01) A61B 5/22 (2006.01.01) A61B 5/00 (2021.01.01) A63B 24/00 (2006.01.01) A63B 71/06 (2006.01.01) A63B 23/04 (2006.01.01)
CPC A61B 5/1124(2013.01) A61B 5/224(2013.01) A61B 5/486(2013.01) A63B 24/0006(2013.01) A63B 24/0062(2013.01) A63B 71/0619(2013.01) A63B 23/04(2013.01) A61B 2505/09(2013.01) A63B 2220/51(2013.01) A63B 2220/836(2013.01) A63B 2024/001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095433 (2020.07.30)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15205 (2022.02.08)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7.30)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송주 서울특별시 성북구
2 윤인찬 서울특별시 성북구
3 한성민 서울특별시 성북구
4 이종민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위더피플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경기대로 **, 진양빌딩 *층(충정로*가)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7.30 수리 (Accepted) 1-1-2020-0802052-36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1.06.17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1.09.0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1-0236409-15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1.12.2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1005408-7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피검사자에게 하지의 제1 운동 방향을 표시하는 지시 유닛; 상기 피검사자의 하지에서 발휘되는 힘을 측정하는 측정 유닛; 및상기 제1 운동 방향 및 측정된 상기 힘의 방향에 비교하여 상기 발휘된 힘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평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시 유닛은 측정된 힘의 방향을 표시하는, 하지 재활 시스템
2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유닛은 상기 제1 운동 방향과 상기 측정된 힘의 방향을 함께 표시하는, 하지 재활 시스템
3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피검사자의 하지에서 발휘되는 힘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지시 유닛은 상기 측정된 힘의 방향 및 크기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하지 재활 시스템
4 4
제1 항에 있어서, 평가된 상기 정확도에 기초하여 다음에 피검사자에게 지시할 하지의 제2 운동 방향을 결정하는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 유닛은 상기 제2 운동 방향을 표시하는, 하지 재활 시스템
5 5
제4 항에 있어서, 평가된 상기 정확도가 소정 값 이상이면 결정 유닛은 제2 운동 방향을 제1 운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결정하고, 평가된 상기 정확도가 소정 값 미만이면 결정 유닛은 제2 운동 방향을 제1 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결정하는, 하지 재활 시스템
6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피검사자의 왼쪽 무릎에서 발휘되는 힘을 측정하여 제1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센서부; 상기 피검사자의 오른쪽 무릎에서 발휘되는 힘을 측정하여 제2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센서부; 상기 피검사자의 왼쪽 발목에서 발휘되는 힘을 측정하여 제3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3 센서부; 및 상기 피검사자의 오른쪽 발목에서 발휘되는 힘을 측정하여 제4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4 센서부를 포함하는, 하지 재활 시스템
7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유닛은 지시된 상기 제1 운동 방향,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상기 제3 데이터 및 상기 제4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정확도를 평가하는, 하지 재활 시스템
8 8
제6 항에 있어서,상기 평가 유닛은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3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1 연관성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데이터와 상기 제4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2 연관성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연관성 및 상기 제2 연관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정확도를 평가하는, 하지 재활 시스템
9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유닛은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데이터와 상기 제4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제3 연관성을 결정하고, 상기 제3 연관성에 기초하여 상기 정확도를 평가하는, 하지 재활 시스템
10 10
제6 항에 있어서,상기 평가 유닛은,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3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왼쪽 무릎 및 상기 왼쪽 발목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휘되는 힘의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힘의 방향과 상기 지시부가 지시한 상기 제1 운동 방향을 비교하여 제4 연관성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4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오른쪽 무릎 및 상기 오른쪽 발목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휘되는 힘의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힘의 방향과 상기 지시부가 지시한 상기 제1 운동 방향을 비교하여 제5 연관성을 결정하고, 상기 제4 연관성 및 상기 제5 연관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정확도를 평가하는, 하지 재활 시스템
11 11
제6항에 있어서,상기 평가 유닛은 상기 피검사자로부터 측정된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상기 제3 데이터 및 상기 제4 데이터를 다른 피검사자로부터 측정된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상기 제3 데이터 및 상기 제4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정확도를 평가하는, 하지 재활 시스템
12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 고정된 제1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된 제1 힘센서; 및 상기 힘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피검사자의 왼쪽 정강이가 결속되는 제1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 고정된 제2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된 제2 힘센서; 및상기 힘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피검사자의 오른쪽 정강이가 결속되는 제2 결속부를 포함하는, 하지 재활 시스템
13 13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부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 고정된 제3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된 제3 힘센서; 및상기 힘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피검사자의 왼쪽 발목이 결속되는 제3 결속부를 포함하고, 하지 재활 시스템
14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피검사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석부를 포함하는, 하지 재활 시스템
15 15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센서부는 각각 서로 수직하는 3 방향 중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의 힘을 측정하는 힘센서를 포함하는, 하지 재활 시스템
16 16
제6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내지 제4 센서부는 각각 상기 서로 수직하는 3 방향 중 적어도 1 이상의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토크를 측정하는 힘센서를 포함하는, 하지 재활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맞춤형 신경 가소성(Neural Plasticity)평가 및 증진 기반 뇌졸중 환자 장애극복 기술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맞춤형 신경 가소성(Neural Plasticity)평가 및 증진 기반 뇌졸중 환자 장애극복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