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주요 우울 장애 치료 효과 조기 예측용 바이오마커

  • 기술번호 : KST2022002941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주요 우울 장애 치료 효과 조기 예측용 바이오마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EPHOX2B, SH3BGRL3 및 YWHA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치료 효과 조기 예측용 바이오마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마커를 이용하는 경우, 약물 치료의 효능이 좋지 않은 환자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어, 우울증 환자를 치료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우울증 환자의 불필요한 약물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t. CL G01N 33/68 (2006.01.01) G01N 30/72 (2006.01.01) G01N 30/88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121321 (2021.09.10)
출원인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34709 (2022.03.1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117021   |   2020.09.11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9.10)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2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남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은영 서울특별시 마포구
2 안용민 서울특별시 종로구
3 김경곤 서울특별시송파구
4 안희성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룸리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평대로 ***, *층 (반포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9.10 수리 (Accepted) 1-1-2021-1053121-99
2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21.09.2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21-0149354-52
3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1.10.12 수리 (Accepted) 1-1-2021-1167927-66
4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1.10 수리 (Accepted) 4-1-2022-5006881-65
5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1.13 수리 (Accepted) 4-1-2022-5010543-98
6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1.13 수리 (Accepted) 4-1-2022-5010528-1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PHOX2B, SH3BGRL3 및 YWHA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치료 효과 예측용 바이오마커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는 에스시탈로프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마커
3 3
제2항에 있어서, 에스시탈로프람 투여 후 적어도 일주일 내 치료 효과 예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마커
4 4
PHOX2B, SH3BGRL3 및 YWHA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 단백질, 이의 단편 또는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치료 효과 예측용 조성물
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투여 후 적어도 일주일 내 치료 효과 예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상기 바이오마커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단편, 또는 압타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상기 바이오마커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프로브 또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치료 효과 예측용 키트
9 9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치료 효과 예측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a)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치료제가 투여된 대상체에서 분리된 샘플에서 PHOX2B, SH3BGRL3 및 YWHA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바이오마커 단백질, 이의 단편 또는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b) 상기 측정된 발현 수준을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가 투여되기 전과 비교하는 단계
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은 혈액, 혈장, 혈청, 소변, 점액, 타액, 눈물, 객담, 척수액, 흉수, 유두 흡인물, 림프액, 기도액, 장액, 비뇨생식관액, 모유, 림프계 체액, 정액, 뇌척수액, 기관계내 체액, 복수, 낭성 종양 체액, 양수액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는 에스시탈로프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투여 후 3 내지 14일에 대상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또는 그의 단편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는 전기영동, 면역블로팅,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면역 조직 화학 염색, 단백질 칩, 면역침강, 질량분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수행; 및/또는 상기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는 RT-PCR, 경쟁적 RT-PCR(competitive RT-PCR), 실시간 RT-PCR(Real-time RT-PCR), RNase 보호 분석법 (RPA: RNase protection assay), 노던 블랏팅(Northern blotting), DNA 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샘플에서 측정된 바이오마커 발현 수준이 상기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가 투여되기 전과 비교하여(i) PHOX2B의 발현이 증가; (ii) SH3BGRL3 발현이 감소; 및/또는(iii) YWHAE 발현이 감소; 하는 경우,상기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는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부 서울대학교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기본연구지원사업 혈중 단백체 및 임상정보의 기계학습 분석을 통한 항우울제 치료반응 조기 예측 알고리듬 개발 및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