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물질의 상호작용 검출 방법

  • 기술번호 : KST2014061407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생리활성물질을 비롯한 다양한 물질들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역동적으로 탐색하고 표적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나노고단위복합체(nano-assembly matrix)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 베이트(bait) 및 프레이(prey)를 반응시켜, 인 비트로(in vitro) 또는 인 비보(in vivo)에서 베이트와 프레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노고단위복합체가 형성(nano-assembly matrix formation)되는지를 분석하거나; 나노고단위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 베이트 및 나노고단위복합체 형성을 유도할 수 있는 매개(조절)물질을 반응시켜, 인 비트로(in vitro) 또는 인 비보(in vivo)에서 매개(조절)물질에 의해 나노고단위복합체의 형성을 유도한 후, 상기 베이트와 상호작용하는 프레이가 상기 나노고단위복합체상에 베이트와 같이 위치(co-localization on nano-assembly matrix)하는지를 분석하여, 베이트와 프레이의 상호작용을 역동적인 형태로 탐색하는 방법 및 상기 상호작용을 저해 또는 촉진하는 표적물질을 용이하게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Int. CL G01N 33/68 (2006.01) G01N 33/58 (2006.01) B82Y 15/00 (2011.01) G01N 33/53 (2006.01)
CPC G01N 33/53(2013.01) G01N 33/53(2013.01) G01N 33/53(2013.01) G01N 33/5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20034136 (2012.04.02)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1547295-0000 (2015.08.19)
공개번호/일자 10-2012-0048545 (2012.05.1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50826)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070082973   |   2007.08.17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10-2008-0079957 (2008.08.14)
관련 출원번호 1020080079957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3.08.13)
심사청구항수 3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태국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이승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이상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랑구
4 이경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5 하재석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처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 (역삼동, 윤익빌딩)(*T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2.04.02 수리 (Accepted) 1-1-2012-0264548-28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3.02.01 수리 (Accepted) 4-1-2013-5019983-17
3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3.08.13 수리 (Accepted) 1-1-2013-0734700-54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3.11.1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779118-25
5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4.01.10 수리 (Accepted) 1-1-2014-0028520-51
6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4.02.06 수리 (Accepted) 1-1-2014-0119045-87
7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4.03.03 수리 (Accepted) 1-1-2014-0208386-06
8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4.04.09 수리 (Accepted) 1-1-2014-0340896-32
9 지정기간연장관련안내서
Notification for Extension of Designated Period
2014.04.1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4-0062227-68
10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4.05.09 수리 (Accepted) 1-1-2014-0439214-13
11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4.06.12 수리 (Accepted) 1-1-2014-0550529-16
12 지정기간연장승인서
Acceptance of Extension of Designated Period
2014.06.2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429026-04
13 지정기간연장승인서
Acceptance of Extension of Designated Period
2014.06.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439358-25
14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4.07.11 수리 (Accepted) 1-1-2014-0654474-10
1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4.07.11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4-0654480-84
16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4.11.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796413-78
1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12.24 수리 (Accepted) 4-1-2014-5158129-58
1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12.24 수리 (Accepted) 4-1-2014-5157968-69
1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12.24 수리 (Accepted) 4-1-2014-5157993-01
20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5.01.19 수리 (Accepted) 1-1-2015-0055237-02
2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2.05 수리 (Accepted) 4-1-2015-0007152-08
22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5.02.23 수리 (Accepted) 1-1-2015-0176647-67
23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5.03.2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5-0276724-08
24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5.03.20 수리 (Accepted) 1-1-2015-0276722-17
25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5.06.2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422135-09
2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4.24 수리 (Accepted) 4-1-2019-5081392-49
2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2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물질의 상호작용 탐색 방법:(i) 표지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트(bait) 물질, 표지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프레이 (prey) 물질, 및 상기 베이트 물질과 상기 프레이 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관찰가능한 점상이미지패턴을 형성하는 물질을 동일한 장(field) 또는 계(system)에 제공하는 단계; 및(ii) 상기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점상이미지패턴을 통해 상기 상호작용을 판별하는 단계
2 2
제1항에 있어서, (i)단계에서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 간의 상호작용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i)단계에서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매개(조절)하는 물질을 하나 이상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매개(조절)하는 물질은 표지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5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물질의 상호작용 탐색 방법:(i) 매개(조절)물질, 표지물질, 및 베이트 물질이 결합되어 있고, 매개(조절)물질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관찰가능한 점상이미지패턴을 형성하는 물질을 동일한 장(field) 또는 계(system)에 제공하는 단계;(ii) 상기 장 또는 계에 표지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프레이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및(iii) 상기 (i) 단계에서 상기 매개(조절)물질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점상이미지패턴과 상기 (ii) 단계에서 상기 베이트 물질과 상기 프레이 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점상이미지패턴을 비교하여, 동일 위치에 존재(co-localization)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의 상호작용을 판별하는 단계
6 6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물질의 상호작용 탐색 방법:(i) 제1매개(조절)물질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매개(조절)물질과 제2매개(조절)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관찰가능한 점상이미지패턴을 형성하는 물질 및 제2매개(조절)물질 및 표지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트 물질을 동일한 장(field) 또는 계(system)에 제공하는 단계;(ii) 상기 장 또는 계에 표지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프레이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및(iii) 상기 (i) 단계에서 상기 제1매개(조절)물질과 제2매개(조절)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점상이미지패턴과 상기 (ii) 단계에서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점상이미지패턴을 비교하여, 동일 위치에 존재(co-localization)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의 상호작용을 판별하는 단계
7 7
제5항에 있어서, (i)단계에서 상기 매개(조절)물질간의 작용을 매개하거나 조절하는 물질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iii)단계에서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매개 또는 조절하는 물질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9
제6항에 있어서, (i)단계에서 상기 제1매개(조절)물질과 제2매개(조절)물질의 작용을 매개하거나 조절하는 물질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10
제1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트 물질, 프레이 물질 및/또는 매개(조절)물질은 생리활성물질(bioactive molecule)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물질은 핵산, 뉴클레오타이드, 단백질, 펩타이드,아미노산, 당, 지질, 비타민 및 화합물(chemical compound)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12
제1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가능한 점상이미지패턴을 형성하는 물질은 여러 개의 동일한 또는 상이한 상호작용부위(binding moeity)를 가진 물질로서, 서로 간의 상호작용 또는 자기조립(self-assembly)에 의해 점상이미지패턴을 형성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13
삭제
14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물질은 방사성 표지, 형광성 물질 또는 발광성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성 물질은 형광염료, 테트라시스테인 형광성 모티브(tetracystein motif), 형광 단백질 또는 형광 나노입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16
제1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물질은 방사성 표지, 형광성 물질 또는 발광성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성 물질은 형광염료, 테트라시스테인 형광성 모티브(tetracystein motif), 형광 단백질 또는 형광 나노입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18
제1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포, 조직 또는 생체 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19
제18항에 있어서, 제프라 피쉬(Zebra fish), 선충(C
20 20
제18항에 있어서, 세포, 조직 또는 생체 내로의 도입은 세포전달성 펩타이드(transducible peptide 및 fusogenic peptide), 지질 유전자 전달체 또는 이들의 결합체의 이용, 일렉트로포레이션(electroporation) 이용, 및 마그네토펙션(magnetofection) 이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21
제1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상이미지패턴은 광학적 방법, 스캐너(scanner)이용, 방사성 표지 감지 수단의 이용, FP 리더(fluorescence polarization reader)의 이용,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의 이용,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의 이용, SQUID의 이용, MR relaxometer의 이용, 형광검출기의 이용 및 발광검출기의 이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22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베이트와 상호작용하는 표적물질의 검출방법:(i) 표지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트(bait) 물질, 표지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프레이 (prey) 물질, 및 상기 베이트 물질과 상기 프레이 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관찰가능한 점상이미지패턴을 형성하는 물질의 라이브러리를 동일한 장(field) 또는 계(system)에 제공하는 단계;(ii) 상기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점상이미지패턴을 통해 상기 상호작용을 판별하는 단계; 및(iii) 상기 상호작용에 의해 점상이미지패턴의 형성이 확인된 프레이 물질을 표적물질로, 선택, 분리 및 동정하는 단계
23 23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베이트와 상호작용하는 표적물질의 검출방법:(i) 매개(조절)물질, 표지물질, 및 베이트 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상기 매개(조절)물질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관찰가능한 점상이미지패턴을 형성하는 물질을 동일한 장(field) 또는 계(system)에 제공하는 단계;(ii) 상기 장 또는 계에 표지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프레이 물질의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iii) 상기 (i) 단계에서 매개(조절)물질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점상이미지패턴과 상기 (ii) 단계에서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점상이미지패턴을 비교하여, 동일 위치에 존재(co-localization)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의 상호작용을 판별하는 단계; 및(iv) 상기 동일 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프레이 물질을 표적물질로, 선택, 분리 및 동정하는 단계
24 24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베이트와 상호작용하는 표적물질의 검출방법:(i) 제1매개(조절)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매개(조절)물질과 제2매개(조절)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관찰가능한 점상이미지패턴을 형성하는 물질 및 제2매개(조절)물질과 표지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트 물질을 동일한 장(field) 또는 계(system)에 제공하는 단계;(ii) 상기 장 또는 계에 표지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프레이 물질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iii) 상기 (i) 단계에서 상기 제1매개(조절)물질과 제2매개(조절)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점상이미지패턴과 상기 (ii) 단계에서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점상이미지패턴을 비교하여, 동일 위치에 존재(co-localization)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의 상호작용을 판별하는 단계; 및(iv) 상기 동일 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프레이 물질을 표적물질로, 선택, 분리 및 동정하는 단계
25 25
제22항에 있어서, (i)단계에서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 간의 상호작용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
26 26
제22항에 있어서, (i)단계에서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매개(조절)하는 물질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
27 27
제23항에 있어서, (i)단계에서 상기 매개(조절)물질간의 작용을 매개 또는 조절하는 물질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
28 28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iii)단계에서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매개(조절)하는 물질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
29 29
제24항에 있어서, (i)단계에서 상기 제1매개(조절)물질과 제2매개(조절)물질의 상호작용을 매개 또는 조절하는 물질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
30 30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베이트 및 프레이 물질간 상호작용을 저해(억제) 또는 촉진(유도)하는 표적물질의 검출 방법:(i) 표적 후보물질의 존재하에서, 표지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트(bait) 물질, 표지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프레이 (prey) 물질, 및 상기 베이트 물질과 상기 프레이 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관찰가능한 점상이미지패턴을 형성하는 물질을 동일한 장(field) 또는 계(system)에 제공하는 단계; 및(ii) 표적 후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베이트와 프레이 물질간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점상이미지패턴에 비해, 표적 후보물질 존재하에 베이트와 프레이 물질간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점상이미지패턴의 형성이 저해(억제) 또는 촉진(유도)되는 경우의 표적 후보물질을, 각각 표적 저해물질 또는 표적 촉진물질로 선정하는 단계
31 3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베이트 및 프레이 물질간 상호작용을 저해(억제) 또는 촉진(유도)하는 표적물질의 검출 방법:(i) 표적 후보 물질 존재하에서, 매개(조절)물질, 표지물질, 및 베이트 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상기 매개(조절)물질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관찰가능한 점상이미지패턴을 형성하는 물질을 동일한 장(field) 또는 계(system)에 제공하는 단계;(ii) 상기 장 또는 계에 표지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프레이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및(iii) 상기 (i) 단계에서 상기 매개(조절)물질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점상이미지패턴과 상기 (ii) 단계에서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고신호강도 점상이미지패턴을 비교하여, 동일 위치에 존재(co-localization)하는 정도가, 표적 후보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i) 단계와 (ii)단계에서의 점상이미지패턴이 동일 위치에 존재하는 정도에 비해, 저해(억제) 또는 촉진(유도)되는 경우의 표적 후보물질을, 각각 표적 저해물질 또는 표적 촉진물질로 선정하는 단계
32 32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베이트 및 프레이 물질간 상호작용을 저해(억제) 또는 촉진(유도)하는 표적물질의 검출 방법:(i) 표적 후보 물질 존재하에서, 제1매개(조절)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제1매개(조절)물질과 제2매개(조절)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관찰가능한 점상이미지패턴을 형성하는 물질 및 제2매개(조절)물질 및 표지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트 물질을 동일한 장(field) 또는 계(system)에 제공하는 단계; (ii) 상기 장 또는 계에 표지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프레이 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및(iii) 상기 (i) 단계에서 제1매개(조절)물질과 제2매개(조절)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점상이미지패턴과 상기 (ii) 단계에서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점상이미지패턴을 비교하여, 동일 위치에 존재(co-localization)하는 정도가, 표적 후보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i) 단계와 (ii)단계에서의 점상이미지패턴이 동일 위치에 존재하는 정도에 비해, 저해(억제) 또는 촉진(유도)되는 경우의 표적 후보물질을, 각각 표적 저해물질 또는 표적 촉진물질로 선정하는 단계
33 33
제30항에 있어서, (i)단계에서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 간의 상호작용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
34 34
제30항에 있어서, (i)단계에서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매개(조절)하는 물질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
35 35
제31항에 있어서, (i)단계에서 상기 매개(조절)물질간의 작용을 매개 또는 조절하는 물질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
36 36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iii)단계에서 베이트 물질과 프레이 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매개(조절)하는 물질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
37 37
제32항에 있어서, (i)단계에서 상기 제1매개(조절)물질과 제2매개(조절)의 작용을 매개 또는 조절하는 물질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01821622 CN 중국 FAMILY
2 EP02179287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3 EP02179287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4 EP02647993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5 EP02647993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6 EP02647993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7 EP02660601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8 EP02660601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9 EP02660601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10 JP05364096 JP 일본 FAMILY
11 JP22537189 JP 일본 FAMILY
12 KR101433331 KR 대한민국 FAMILY
13 US09164090 US 미국 FAMILY
14 US20100273673 US 미국 FAMILY
15 WO2009025475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16 WO2009025475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01821622 CN 중국 DOCDBFAMILY
2 CN101821622 CN 중국 DOCDBFAMILY
3 EP2179287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4 EP2179287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5 EP2179287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6 EP2647993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7 EP2647993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8 EP2647993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9 EP2660601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10 EP2660601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11 EP2660601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12 JP2010537189 JP 일본 DOCDBFAMILY
13 JP2010537189 JP 일본 DOCDBFAMILY
14 JP2010537189 JP 일본 DOCDBFAMILY
15 JP5364096 JP 일본 DOCDBFAMILY
16 KR101433331 KR 대한민국 DOCDBFAMILY
17 KR20090018585 KR 대한민국 DOCDBFAMILY
18 US2010273673 US 미국 DOCDBFAMILY
19 US9164090 US 미국 DOCDBFAMILY
20 WO2009025475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21 WO2009025475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