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디지털 유방 X-선 영상에서 미세석회화 군집 검출 방법

  • 기술번호 : KST2015137340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X-선 영상에서 흉근 영역을 제거하여 처리의 대상이 되는 유방 역역만 검출해내는 단계(S1); 상기 검출된 유방 영역을 전처리하는 단계(S2); 상기 전처리된 유방 영역에서 미세석회화 군집의 후보군을 검출하는 단계(S3); 및 상기 미세석회화 군집의 후보군에서 미세석회화를 검출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유방 X-선 영상에서 미세석회화 군집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방암 미세석회화 증례의 부분 영상으로부터 다양한 미세석회화의 신호 표본을 채취하여 수학적으로 모형화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최적 필터 파라미터를 조사하여 악성에 대한 위험도를 가진 미세석회화를 검출하는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방법의 제공이 가능하다. 미세석회화, 헤시안 필터, 가우시안스무딩, LoG
Int. CL A61B 6/00 (2006.01.01) G06F 19/00 (2018.01.01)
CPC A61B 6/502(2013.01) A61B 6/502(2013.01) A61B 6/50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90096935 (2009.10.12)
출원인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078756-0000 (2011.10.26)
공개번호/일자 10-2011-0039897 (2011.04.2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11101)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9.10.12)
심사청구항수 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종효 대한민국 서울시 성북구
2 김창원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3 김영우 대한민국 서울시 강동구
4 이화정 대한민국 서울 마포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장한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 **층 (서초동, 서초지웰타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09.10.12 수리 (Accepted) 1-1-2009-0624368-68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09.10.23 수리 (Accepted) 1-1-2009-0650902-05
3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1.02.0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1-0070878-42
4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1.04.08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1-0257103-26
5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1.04.08 수리 (Accepted) 1-1-2011-0257102-81
6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1.09.2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1-0541712-08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1.09.27 수리 (Accepted) 4-1-2011-5195109-43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3.01.14 수리 (Accepted) 4-1-2013-5007213-54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3.17 수리 (Accepted) 4-1-2015-5033829-92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5.13 수리 (Accepted) 4-1-2015-5062924-01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5.13 수리 (Accepted) 4-1-2019-5093546-10
1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5.23 수리 (Accepted) 4-1-2019-5101798-31
1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02 수리 (Accepted) 4-1-2019-5154561-59
1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11.25 수리 (Accepted) 4-1-2020-5265458-4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X-선 영상에서 흉근 영역을 제거하여 처리의 대상이 되는 유방 역역만 검출해내는 단계(S1); 상기 검출된 유방 영역을 전처리하는 단계(S2); 상기 전처리된 유방 영역에서 미세석회화 군집의 후보군을 검출하는 단계(S3); 및 상기 미세석회화 군집의 후보군에서 미세석회화를 검출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유방 X-선 영상에서 미세석회화 군집 검출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의 전처리는, 가우시안 평탄화(Gaussian smoothing) 필터와 LoG(Laplacian of Gaussian) 필터 과정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유방 X-선 영상에서 미세석회화 군집 검출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의 후보군 검출은, 전처리 과정을 거친 유방 X-선 영상의 유방 영역에서 픽셀의 LoG값이 임계값(Threshold) 이하이며 픽셀의 헤시안 필터의 유값1(Eigen value 1, λ1), 고유값2(Eigen value 2, λ2)가 모두 음수인 조건으로 미세석회화 후보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유방 X-선 영상에서 미세석회화 군집 검출 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Threshold)은, 유방영상을 여러 개의 지역별로 나눈 다음, 각 지역별로 지역 내에서 LoG 신호값이 최저값인 화소들의 LoG 신호값에 대한 히스토그램에 대해 1 percentile, 5 percentile, mode, 평균, 표준편차 등을 포함하는 분포지수들을 구하고, 여러 지역에서 상기 분포지수들의 통계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각 환자의 정상 유방조직이 가지는 지역별 LoG 최저값의 한계를 구하여, 이 한계값에 일정 배수를 곱하여 구한 것으로서, 이렇게 산정된 LoG 임계값은 유방조직이 치밀한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에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유방 X-선 영상에서 미세석회화 군집 검출 방법
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의 미세석회화의 검출은, 상기 S3 단계에서 선정된 미세석회화 후보 지점에서의 헤시안(Hessian) 행렬을 고유값 분해(Eigen Value Decomposition)하는 단계(S41); 상기 고유값 분해에 의해 산정된 고유값1(Eigen value 1, λ1), 고유값2(Eigen value 2, λ2) 값이 모두 음수인 지점을 선정하는 단계(S42); 상기 λ1, λ2 값이 모두 음수인 지점을 시점으로 다중 시드 영역 성장(Multi Seeded Region growing)을 시행하는 단계(S43); 상기 영역 성장된 결과에 대해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를 실시하여 주방향성분의 길이가 50화소 이상의 경우 유선(Duct) 성분으로 간주하여 미세석회화 후보에서 제외하는 단계(S44); 및 상기 S44 단계까지 거친 후보점에 대해 라벨링을 실시하고, 라벨링된 후보점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1cm2 이내에 모여 있는 후보점들을 군집화하여, 1cm2 이내에 3개 이상의 미세석회화 후보점을 포함하는 경우를 군집화된 미세석회화로 간주하는 단계(S4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유방 X-선 영상에서 미세석회화 군집 검출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보건복지부 / 교육과학기술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 보건의료기술개발사업 / 미래기반기술개발사업 디지털 유방촬영술용 컴퓨터보조진단장치 시제품 개발 / 고기능 실시간 응답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