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표면 증강 라만 산란 기반 바이오센싱 및/또는 바이오이미지 측정용 폴리에틸렌글리콜 접합 나노스케일 그래핀에 의해 유도된 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 구조체 제조방법(Polyethyleneglycol conjugated Nanoscale Graphene Mediated Metallic Nanoparticle Clusters for Surface Enhanced Raman Scattering-based Biosensing and/or Bioimaging)

  • 기술번호 : KST2017009298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PEGylated nanoscale graphene: PNG)과 라만 리포터가 부착된 금속 나노입자(Metal Nanoparticle: MNP)를 혼합하여 PEG화 나노스케일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PNG-MNP cluster: PNG-MNPC)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 증강 라만 산란(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SERS)기반 바이오센싱 및/또는 바이오이미지 측정용 PEG화 나노스케일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PNG-MNPC) 구조체의 SERS 나노프로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nt. CL G01N 21/65 (2016.11.30) G01N 33/483 (2016.11.30) B82Y 15/00 (2016.11.30) B82Y 20/00 (2016.11.30) B82Y 40/00 (2016.11.30)
CPC
출원번호/일자 1020160158589 (2016.11.25)
출원인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7-0061619 (2017.06.0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50166313   |   2015.11.26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11.25)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임동우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2 주재범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3 아메드알리 파키스탄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다해 대한민국 서울시 서초구 서운로**, ***호(서초동, 중앙로얄오피스텔)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11.25 수리 (Accepted) 1-1-2016-1157852-99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7.05.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7.07.0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17-0128913-32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7.09.0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622646-22
5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7.09.08 수리 (Accepted) 1-1-2017-0873879-26
6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7.11.03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1091308-82
7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7.11.03 수리 (Accepted) 1-1-2017-1091307-36
8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8.02.0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076576-5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PEGylated nanoscale graphene: PNG)과 라만 리포터가 부착된 금속 나노입자(Metal Nanoparticle: MNP)를 혼합하여 PEG화 나노스케일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PNG-MNP cluster: PNG-MNPC)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 증강 라만 산란(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SERS)기반 바이오센싱 및/또는 바이오이미지 측정용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PNG-MNPC) 구조체 제조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만 리포터가 부착된 금속 나노입자는 표면이 소수성 분자인 파이렌(pyrene)으로 개질된 것인, SERS 기반 바이오센싱 및/또는 바이오이미지 측정용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PNG-MNPC) 구조체 제조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금, 은, 구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SERS 기반 바이오센싱 및/또는 바이오이미지 측정용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PNG-MNPC) 구조체 제조 방법
4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분자인 파이렌은 1-파이렌메틸아민(1-pyrenemethylamine), 1-파이렌프로필아민(1-pyrenepropylamine), 1-파이렌부틸아민(1-pyrenebutylami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SERS 기반 바이오센싱 및/또는 바이오이미지 측정용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PNG-MNPC) 구조체 제조 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PNG-MNPC) 전체의 크기는 10 내지 1000 nm인, SERS 기반 바이오센싱 및/또는 바이오이미지 측정용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PNG-MNPC) 구조체 제조 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PNG-MNPC)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이 상기 금속 나노입자의 클러스터링을 매개하는 물질로 작용하여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PNG-MNPC)를 형성하는 것인, SERS 기반 바이오센싱 및/또는 바이오이미지 측정용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PNG-MNPC) 구조체 제조 방법
7 7
라만 리포터가 부착된 금속 나노입자(Metal Nanoparticle: MNP); 및상기 금속 나노입자와 비공유 상호작용을 통해 결합된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PEGylated nanosized graphene: PNG);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 나노입자(MNP)는 상기 PNG상에서 금속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증강 라만 산란(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SERS) 기반 바이오센싱 및/또는 바이오이미지 측정용,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PNG-MNPC)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입자는 파이렌으로 표면이 개질된 것인, SERS 기반 바이오센싱 및/또는 바이오이미지 측정용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PNG-MNPC)
9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금, 은, 구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SERS 기반 바이오센싱 및/또는 바이오이미지 측정용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PNG-MNPC)
10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용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 전체의 크기는 10 내지 1000 nm인, SERS 기반 바이오센싱 및/또는 바이오이미지 측정용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PNG-MNPC)
11 11
제7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에 항체를 접합(Conjugation)하고;자성 입자(Magnetic bead: MB)에 항체를 접합하고;상기 자성 입자에 접합된 항체와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원을 반응시켜자성 입자-항원 면역 복합체를 형성하고;상기 자성 입자-항원 면역복합체와 상기 항체가 접합된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를 혼합하여 샌드위치 면역복합체를 형성하고; 그리고상기 샌드위치 면역복합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SERS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 증강 라만 산란(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SERS) 기반 바이오센싱 및/또는 바이오이미지 측정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결합된 자성 입자는, 상기 자성 입자가 폴리머에 둘러싸여 캡슐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증강 라만 산란(SERS) 기반 바이오센싱 및/또는 바이오이미지 측정방법
13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PEG화된 나노스케일 그래핀 -금속 나노입자 클러스터에 결합된 항체는 폴리클론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증강 라만 산란(SERS) 기반 바이오센싱 및/또는 바이오이미지 측정방법
14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입자에 결합된 항체는 모노클론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증강 라만 산란(SERS) 기반 바이오센싱 및/또는 바이오이미지 측정방법
15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샌드위치 면역복합체의 검출 하한(LOD)은 9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부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일반연구자지원사업/기본연구(보호연구) 유전공학기술에 의한 생고분자 생합성 및 약물전달과 조직공학 응용 연구
2 미래창조과학부 (재)한국연구재단 원천기술개발사업/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사이토믹스기반진단및분자감지기술개발사업 고감도 나노바이오 광센서 및 분석기술개발
3 미래창조과학부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ERC 바이오마커에 대한 Multiplex 센싱 펩타이드 개발
4 교육부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 일반연구자지원사업 / 기본연구(기본)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리셉터 결합 펩타이드를 포함한 자극 반응성 융합 단백질 기반 나노구조체 개발
5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 임상연구인프라조성사업 나노광센싱 기반 류마티스관절염 다중 면역 바이오마커 체외진단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