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갭을 갖는 바이오 센서를 이용한 파킨슨병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 기술번호 : KST2021011947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파킨슨병 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킨슨병 모니터링 방법은 마이크로 비드(b)에 제1 항체(10)를 결합하여 제1 결합체(S1)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결합체(S1)에 상기 제1 항체(10)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타겟 단백질(20)을 결합하여 제2 결합체(S2)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2 결합체(S2)에 상기 타겟 단백질(20)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2 항체(30)를 결합하여 제3 결합체(S3)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2 결합체(S2)의 임피던스인 제1 임피던스(Z1)가 측정되고, 상기 제3 결합체(S3)의 임피던스인 제2 임피던스(Z2)가 측정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임피던스(Z1)와 상기 제2 임피던스(Z2)의 차이값을 상기 제1 임피던스로 나눈 임피던스 변화율(△Z)이 연산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타겟 단백질(20)은 알파-시뉴클레인(Alpha-Synuclein) 단백질일 수 있다.
Int. CL G01N 33/543 (2006.01.01) G01N 27/327 (2006.01.01) G01N 27/02 (2006.01.01) G01N 33/68 (2006.01.01)
CPC G01N 33/5438(2013.01) G01N 27/3278(2013.01) G01N 27/021(2013.01) G01N 33/6896(2013.01) G01N 33/54326(2013.01) G01N 2800/2835(2013.01) G01N 2800/50(2013.01) G01N 2440/1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040350 (2020.04.02)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123074 (2021.10.1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4.02)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수현 서울특별시 성북구
2 이이재 서울특별시 성북구
3 박재영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한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 *층(문정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4.02 수리 (Accepted) 1-1-2020-0345611-17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11.13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마이크로 비드(b)에 제1 항체(10)를 결합하여 제1 결합체(S1)를 준비하는 단계;상기 제1 결합체(S1)에 상기 제1 항체(10)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타겟 단백질(20)을 결합하여 제2 결합체(S2)를 준비하는 단계;상기 제2 결합체(S2)에 상기 타겟 단백질(20)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2 항체(30)를 결합하여 제3 결합체(S3)를 준비하는 단계;상기 제2 결합체(S2)의 임피던스인 제1 임피던스(Z1)가 측정되고, 상기 제3 결합체(S3)의 임피던스인 제2 임피던스(Z2)가 측정되는 단계; 및상기 제1 임피던스(Z1)와 상기 제2 임피던스(Z2)의 차이값을 상기 제1 임피던스(Z1)로 나눈 임피던스 변화율(△Z)이 연산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타겟 단백질(20)은 알파-시뉴클레인(Alpha-Synuclein) 단백질인,파킨슨병 모니터링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항체(30)는 상기 알파-시뉴클레인의 변형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파킨슨병 모니터링 방법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알파-시뉴클레인의 변형 부위는 인산화된 부분을 포함하는,파킨슨병 모니터링 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2 항체(30)는 상기 알파-시뉴클레인의 p-ser129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파킨슨병 모니터링 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모니터링 방법은,제1 전극(140), 간극(G)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전극(140)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제2 전극(160), 및 상기 간극(G)과 연통하는 개구(117)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전극(140)의 일부와 상기 제2 전극(160)의 일부를 커버하는 유기 절연층(180)을 포함하는 단위 측정부(110)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센서(100)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내에서 수행되며,상기 제2 결합체(S2)와 상기 제3 결합체(S3)가 상기 간극(G)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임피던스(Z1)와 상기 제2 임피던스(Z2)가 측정되는,파킨슨병 모니터링 방법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상기 제1 전극(140)과 상기 제2 전극(160) 사이에 기 설정된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인가부(220), 상기 제1 임피던스(Z1)와 상기 제2 임피던스(Z2)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230), 및 상기 제1 임피던스(Z1)와 상기 제2 임피던스(Z2)를 이용하여 상기 임피던스 변화율(△Z)을 연산하는 연산부(240)를 더 포함하는,파킨슨병 모니터링 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2 결합체(S2)의 임피던스인 제1 임피던스(Z1)가 측정되고, 상기 제3 결합체(S3)의 임피던스인 제2 임피던스(Z2)가 측정되는 단계는,상기 전원 인가부(220)에 의해 기 설정된 교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기 설정된 교류 전압에 상기 기 설정된 교류 전압의 인가에 따라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흐르는 전류 값으로 나눈 값을 임피던스로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기 설정된 교류 전압의 주파수는 0
8 8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1 결합체(S1)에 상기 제1 항체(10)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타겟 단백질(20)을 결합하여 제2 결합체(S2)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100) 내부에 상기 타겟 단백질(20)을 포함하는 분석 대상 샘플을 투입함으로써 수행되며,상기 분석 대상 샘플은 세포 용해물(cell lysate), 뇌 용해물(brain lysate), 혈장(plasma), 혈액, 타액 및 콧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파킨슨병 모니터링 방법
9 9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140)과 상기 제2 전극(160) 사이의 간극(G)은 1μm 이하인,파킨슨병 모니터링 방법
10 10
제5항에 있어서,상기 간극(G)에 놓여지는 물질의 임피던스는,상기 마이크로 비드(b)에 결합된 물질의 양과 종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파킨슨병 모니터링 방법
11 11
제6항에 있어서,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연산부(240)에 의해 연산되는 임피던스 변화율(△Z)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250)를 더 포함하며,상기 파킨슨병 모니터링 방법은,제1 시점에서 연산된 임피던스 변화율과, 상기 제1 시점 이후 제2 시점에서 연산된 임피던스 변화율을 비교함으로써, 비교 결과 데이터가 연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파킨슨병 모니터링 방법
12 12
제5항에 있어서,상기 마이크로 비드(b)는 자성 비드이고,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자성 비드가 상기 개구(117)를 통해 상기 간극(G)에 놓여지도록 안내하는 자성체(300)를 더 포함하는,파킨슨병 모니터링 방법
13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파킨슨병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제1 전극(140), 간극(G)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전극(140)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제2 전극(160), 및 상기 간극(G)과 연통하는 개구(117)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전극(140)의 일부와 상기 제2 전극(160)의 일부를 커버하는 유기 절연층(180)을 포함하는 단위 측정부(110)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센서(100); 및상기 제1 전극(140)과 상기 제2 전극(160) 사이에 기 설정된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인가부(220), 상기 제1 임피던스(Z1)와 상기 제2 임피던스(Z2)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230), 및 상기 제1 임피던스(Z1)와 상기 제2 임피던스(Z2)를 이용하여 상기 임피던스 변화율(△Z)을 연산하는 연산부(240)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200);를 포함하는,파킨슨병 모니터링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혈액-뇌장벽 손상 측정/제어 및 뇌단백질 변형/응집체 분석을 위한 코어 기술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In vitro 플랫폼 구축: 치매 병증 유도의 기전 연구를 위한 3D 신경세포-성상세포-미세아교세포 공배양 플랫폼 및 병인 발굴을 위한 바이오센서 플랫폼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