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펩시노겐 II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초기 미만형 위암 예측 또는 진단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2000863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초기 미만형 위암을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바이오마커로 펩시노겐 II를 발굴하고, 피험자에서 측정된 상기 펩시노겐 II의 수준에 따라 초기 미만형 위암을 예측 또는 진단할 수 있는 조성물, 키트 및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 키트 및 정보제공방법은 혈청 펩시노겐 II의 수준이 20 μg/L 이상이라면 높은 민감도 및 특이도로 초기 미만형 위암을 예측 또는 진단할 수 있고, 나아가 혈청 펩시노겐 II의 수준이 20 μg/L 이상인지 여부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상태가 양성인지 여부를 통해 피험자의 초기 미만형 위암에 대한 위험도를 분류할 수 있는바, 혈청 펩시노겐 II의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 또는 이와 함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P)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키트와 이를 이용한 정보제공방법은 내시경 검사 전에 수행할 수 있는 비침습적인 수단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Int. CL G01N 33/574 (2006.01.01) G01N 33/569 (2017.01.01) C12Q 1/04 (2017.01.01)
CPC G01N 33/57446(2013.01) G01N 33/57488(2013.01) G01N 33/56922(2013.01) C12Q 1/04(2013.01) G01N 2800/52(2013.01) G01N 2333/9647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15244 (2020.09.09)
출원인 서울대학교병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08189 (2022.01.2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086191   |   2020.07.13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9.09)
심사청구항수 1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울대학교병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나영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우성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길 **, *층 (수송동, 석탄회관빌딩)(케이씨엘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9.09 수리 (Accepted) 1-1-2020-0954840-73
2 [지정기간연장]기간 연장신청서·기간 단축신청서·기간 경과 구제신청서·절차 계속신청서
2021.05.31 불수리 (Non-acceptance) 1-1-2021-0629379-25
3 서류반려이유통지서
Notice of Reason for Return of Document
2021.06.1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21-0094572-20
4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1.06.17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5 서류반려통지서
Notice for Return of Document
2021.07.0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21-0109251-21
6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1.08.1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1-0183111-94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1.10.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842422-34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1.12.24 수리 (Accepted) 1-1-2021-1498768-77
9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1.12.24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1-1498767-2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40세 미만의 피험자의 샘플에서 펩시노겐 II(pepsinogen II, PGII)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초기 미만형(diffuse-type) 위암 예측 또는 진단용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는 여성인, 조성물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샘플은 혈청, 혈장, 전혈, 소변, 타액 및 눈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샘플은 혈청인, 조성물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조성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Helicobacter pylori) 검출 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6 6
40세 미만의 여성의 혈청에서 펩시노겐 II(pepsinogen II, PGII)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Helicobacter pylori) 검출 제제를 포함하는 초기 미만형(diffuse-type) 위암 예측 또는 진단용 조성물
7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고, 초기 미만형(diffuse-type) 위암 예측 또는 진단용 키트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키트는 피험자의 혈청에 적용되는 것인, 키트
9 9
제7항에 있어서,상기 키트는 피험자의 샘플로부터 얻어진 펩시노겐 II의 검출량이 20 μg/L 이상인 경우 초기 미만형 위암인 것으로 예측 또는 진단하는 것인, 키트
10 10
제7항에 있어서,상기 키트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Helicobacter pylori) 검출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고,상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 검출 제제는 조직학적 시험, 배양 시험, 신속 요소분해효소 검사(rapid urease testing) 및 혈청검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검사를 위한 제제이고,상기 조직학적 시험은 상기 피험자의 위로부터 분리된 생검 표본에 대한 염색 시험이고,상기 배양 시험은 상기 피험자의 위로부터 분리된 생검 표본에 대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 배양 시험이며,상기 혈청검사는 상기 피험자의 혈청으로부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에 대한 항체인 면역글로불린 G(immunoglobulin G, IgG)를 측정하는 것인, 키트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혈청검사는 세균응집반응(bacterial agglutination), 보체결합(complement fixation), 간접면역형광(indirect immunofluorescence test) 및 면역측정법(immunoassa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키트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면역측정법은 효소결합 면역흡착법(enzyme linked immunesorbent assay, ELISA), 화학발광 면역측정법(chemiluminescent immunoassay) 및 방사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키트
13 13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키트는 피험자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HP) 상태의 양성 또는 음성 분류 기준이 하기와 같은, 키트:i) 상기 조직학적 시험, 배양 시험, 신속 요소 분해효소 검사 및 혈청검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양성이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상태는 양성;ii) 상기 조직학적 시험, 배양 시험 및 신속 요소 분해효소 검사가 모두 음성이고, 상기 혈청검사가 양성이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상태는 양성;iii) 상기 조직학적 시험, 배양 시험, 신속 요소 분해효소 검사 및 혈청검사가 음성이고, 피험자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이력이 있으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상태는 양성; 및iv) 상기 조직학적 시험, 배양 시험, 신속 요소 분해효소 검사 및 혈청검사가 음성이고, 피험자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이력이 없으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상태는 음성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키트는 초기 미만형 위암의 고위험군, 중간 위험군 및 저위험군 분류 기준이 하기와 같은, 키트:a) 상기 펩시노겐 II의 검출량이 20 μg/L 이상이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상태가 양성이면 초기 미만형 위암의 고위험군;b) 상기 펩시노겐 II의 검출량이 20 μg/L 이상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상태가 양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만 해당하는 경우 초기 미만형 위암의 중간 위험군; 및c) 상기 펩시노겐 II의 검출량이 20 μg/L 미만이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상태가 음성이면 초기 미만형 위암의 저위험군
15 15
40세 미만의 피험자의 샘플로부터 펩시노겐 II(pepsinogen II, PGII)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기 미만형(diffuse-type) 위암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피험자는 여성인, 정보제공방법
17 17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샘플은 혈청인, 정보제공방법
18 18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정보제공방법은 상기 펩시노겐 II 수준이 20 μg/L 이면 초기 미만형 위암인 것으로 예측 또는 진단하는, 정보제공방법
19 19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정보제공방법은 상기 피험자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Helicobacter pylori, HP) 감염여부를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정보제공방법
20 20
제19항에 있어서,상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 감염여부 측정은 상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 검출 제제는 조직학적 시험, 배양 시험, 신속 요소분해효소 검사(rapid urease testing) 및 혈청검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상기 조직학적 시험은 상기 피험자의 위로부터 분리된 생검 표본에 대한 염색 시험이고,상기 배양 시험은 상기 피험자의 위로부터 분리된 생검 표본에 대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 배양 시험이며,상기 혈청검사는 상기 피험자의 혈청으로부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에 대한 항체인 면역글로불린 G(immunoglobulin G, IgG)를 측정하는 것인, 정보제공방법
21 21
제20항에 있어서,상기 정보제공방법은 피험자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HP) 상태를 하기와 같은 기준에 따라 양성 또는 음성으로 분류하고:i) 상기 조직학적 시험, 배양 시험, 신속 요소 분해효소 검사 및 혈청검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양성이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상태는 양성;ii) 상기 조직학적 시험, 배양 시험 및 신속 요소 분해효소 검사가 모두 음성이고, 상기 혈청검사가 양성이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상태는 양성;iii) 상기 조직학적 시험, 배양 시험, 신속 요소 분해효소 검사 및 혈청검사가 음성이고, 피험자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이력이 있으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상태는 양성; 및iv) 상기 조직학적 시험, 배양 시험, 신속 요소 분해효소 검사 및 혈청검사가 음성이고, 피험자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이력이 없으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상태는 음성,상기 피험자의 펩시노겐 II의 수준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상태에 따라 피험자가 초기 미만형 위암의 고위험군, 중간 위험군 및 저위험군 중 어느 하나 인 것으로 예측 또는 진단하는, 정보제공방법:a) 상기 펩시노겐 II의 검출량이 20 μg/L 이상이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상태가 양성이면 초기 미만형 위암의 고위험군;b) 상기 펩시노겐 II의 검출량이 20 μg/L 이상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상태가 양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만 해당하는 경우 초기 미만형 위암의 중간 위험군; 및c) 상기 펩시노겐 II의 검출량이 20 μg/L 미만이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상태가 음성이면 초기 미만형 위암의 저위험군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