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암 질환의 치료 표적으로서 CYP11A1 및 P450scc의 용도

  • 기술번호 : KST2022024405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암 질환의 치료 표적으로서 CYP11A1 및 P450scc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Int. CL A61K 31/407 (2006.01.01) A61P 35/00 (2006.01.01) A61P 35/04 (2006.01.01) G01N 33/50 (2017.01.01) G01N 33/68 (2006.01.01)
CPC A61K 31/407(2013.01) A61P 35/00(2013.01) A61P 35/04(2013.01) G01N 33/5011(2013.01) G01N 33/6893(2013.01) C12Q 1/6886(2013.01) C12Q 2600/13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79410 (2021.06.18)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69238 (2022.12.2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6.18)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강민정 서울특별시 성북구
2 히엔 티마이 옹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한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 *층(문정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6.18 수리 (Accepted) 1-1-2021-0705593-51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07.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CYP11A1 유전자 또는 P450scc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증가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질환의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CYP11A1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유전자 서열을, 상기 P450scc 단백질은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CYP11A1 유전자의 발현 또는 활성 증가제는 CYP11A1 유전자 cDNA를 포함하는 트랜스펙션 조성물 또는 CYP11A1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는 전사 인자(transcription factor)를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P450scc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증가제는 상기 P450scc 단백질에 결합하는 천연물 유래 화합물, 합성 유기 화합물, 펩타이드, 앱타머, 또는 항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암 질환은 신장암(kiney cancer 또는 renal cancer), 부신암(adrenal cancer),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및 전립선암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6
제1항에 있어서,암 세포의 이동 또는 침윤을 억제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7
CYP11A1 유전자 또는 P450scc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주에 하나 이상의 치료제 후보물질을 접촉시키는 제1단계;상기 치료제 후보물질을 접촉시킨 세포주의 i) CYP11A1 유전자 또는 P450scc 단백질 발현 수준을 측정, ii) 이동성 또는 전이성을 확인, 또는 iii) 상피간엽이행(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 마커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2단계; 및치료제 후보물질을 접촉시킨 세포주 중에서 치료제 후보물질와 접촉시키지 않은 세포주에 비해 i) 증가된 CYP11A1 유전자 또는 P450scc 단백질 발현 수준을 나타내거나, ii) 감소된 이동성 또는 전이성을 나타내거나, iii) 감소된 EMT 발현 수준을 나타내는 세포주를 선별하여 해당 물질을 최종 약물 후보로 결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암 질환의 전이 억제용 조성물의 스크리닝 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2단계에서 CYP11A1 유전자 또는 P450scc 단백질 발현 수준, 또는 EMT 발현 수준의 측정은 마이크로어세이, 앱타머칩, 효소면역분석법(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DNA칩 분석법(DNA microarray),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면역침전법(immunoprecipitation; IP), 방사선면역분석(radioimmunoassay; RIA), 방사면역확산법(radial immunodiffusion),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Ouchterlony immunodiffusion), 로케트 면역전기영동(rocket immunoelectrophoresis), 면역조직화학염색법(immunohistochemical staining), 보체고정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면역형광법(immunofluorescence),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immunochromatography), FACS 분석법(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er analysis), 및 단백질칩 분석법(protein microarray)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단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인, 스크리닝 방법
9 9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2단계에서 이동성 및 전이성은 각각 세포가 이동 가능한 빈 공간을 갖는 배양 용기 및 투과막을 구비한 트랜스웰 챔버에 세포를 배양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 세포의 분포를 육안으로 또는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측정하는 것인, 스크리닝 방법
10 10
P450scc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주에 하나 이상의 치료제 후보물질을 접촉시키는 제1단계;상기 치료제 후보물질을 접촉시킨 세포주에서 P450scc 단백질의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제2단계; 및치료제 후보물질을 접촉시킨 세포주 중에서 치료제 후보물질와 접촉시키지 않은 세포주에 비해 증가된 P450scc 단백질 활성을 나타내는 세포주를 선별하여 해당 물질을 최종 약물 후보로 결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암 질환의 전이 억제용 조성물의 스크리닝 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P450scc 단백질의 활성 수준은 효소면역분석법(ELISA), 스테로이드 정량분석칩,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LC-MS/MS), 및 기질 보조 레이저 탈착 이온화 비행시간(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 of flight; MALDI-TOF) 질량분석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단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인, 스크리닝 방법
12 12
제10항에 있어서,P450scc 단백질의 활성 수준은 세포주로부터 콜레스테롤(cholesterol), 프레그네놀론(pregnenolone), 또는 둘 모두를 검출하여 측정하는 것인, 스크리닝 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치료제 후보물질을 접촉시킨 세포주 중에서 치료제 후보물질와 접촉시키지 않은 세포주에 비해 검출된 콜레스테롤의 감소, 프레그네놀론의 증가, 또는 둘 모두를 나타낸 경우, P450scc 단백질의 활성 수준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스크리닝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NBIT 융합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