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빛에 의해 RTK 신호전달을 활성화하는 융합단백질 및 그의 용도

  • 기술번호 : KST2015115778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빛에 의해 RTK 신호전달을 가역적으로 활성화하는 융합단백질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수용체 타이로신 인산화효소(Receptor Tyrosine Kinase, RTK) 단백질 또는 상기 RTK 단백질의 리간드 결합 부위가 제거되거나 상기 리간드가 결합하지 않도록 변이된 RTK 변이체 단백질C-말단에 광유도 이합체 형성 단백질이 연결된 융합단백질을 제공한다.
Int. CL C07K 19/00 (2006.01) C12N 15/62 (2006.01) C12N 15/82 (2006.01) C12N 15/85 (2006.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20023638 (2012.03.07)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10-1433057-0000 (2014.08.18)
공개번호/일자 10-2013-0102416 (2013.09.1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40923)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2.03.07)
심사청구항수 2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허원도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2 장기영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3 우도연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남식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길 *-*, *층 (양재동, 가람빌딩)(율민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한윤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삼성동) 명지빌딩, *층(선정국제특허법률사무소)
3 양기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삼성동) 명지빌딩, *층(선정국제특허법률사무소)
4 이인행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길 *-*, *층 (양재동, 가람빌딩)(율민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2.03.07 수리 (Accepted) 1-1-2012-0187193-84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2.11.07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2.12.17 수리 (Accepted) 9-1-2012-0093012-66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3.02.01 수리 (Accepted) 4-1-2013-5019983-17
5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3.04.18 수리 (Accepted) 1-1-2013-0341584-36
6 [대리인사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Resignation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3.07.31 수리 (Accepted) 1-1-2013-0696692-95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3.08.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572461-27
8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3.10.21 수리 (Accepted) 1-1-2013-0947268-60
9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3.11.20 수리 (Accepted) 1-1-2013-1054291-33
10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3.12.20 수리 (Accepted) 1-1-2013-1170630-17
11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4.01.2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4-0057925-18
12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4.01.20 수리 (Accepted) 1-1-2014-0057899-18
13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4.04.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292431-13
14 [법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Extension of Legal Period] Request for Extension of Period (Reduction, Expiry Reconsideration)
2014.06.11 수리 (Accepted) 7-1-2014-0021688-99
15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4.06.19 수리 (Accepted) 1-1-2014-0573247-29
1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4.07.11 수리 (Accepted) 1-1-2014-0654529-22
1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재심사)
Amendment to Description, etc(Reexamination)
2014.07.11 보정승인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4-0654530-79
18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2014.08.1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554248-21
1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12.24 수리 (Accepted) 4-1-2014-5157968-69
2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12.24 수리 (Accepted) 4-1-2014-5157993-01
2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12.24 수리 (Accepted) 4-1-2014-5158129-58
2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4.24 수리 (Accepted) 4-1-2019-5081392-49
2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2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수용체 타이로신 인산화효소(Receptor Tyrosine Kinase, RTK) 단백질 또는 상기 RTK 단백질의 리간드 결합 부위가 제거되거나 상기 리간드가 결합하지 않도록 변이된 RTK 변이체 단백질 C-말단에 CRY(chryptochrome) 또는 PHR(phytolyase homologous region)이 연결된 융합단백질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 타이로신 인산화효소(Receptor Tyrosine Kinase, RTK) 단백질은 표피성장인자 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RTK 클래스 I), 인슐린 수용체(Insulin Receptor, RTK 클래스 II),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수용체(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RTK 클래스 III), 섬유아세포증식인자 수용체(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RTK 클래스 IV),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수용체(Vascular endothelial cell growth factor receptor, RTK 클래스 V), 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Hepatocyte growth factor receptor, RTK 클래스 VI), TRK 수용체(Tropomyosin-receptor-kinase receptor, RTK 클래스 VII), EPH 수용체(RTK 클래스 VIII), AXL 수용체(RTK 클래스 IX), LKT 수용체(RTK 클래스 X), TIER 수용체(RTK 클래스 XI), 수용체 타이로신 인산화 효소-유사 오펀 수용체(receptor tyrosine kinase-like orphan receptors, RTK 클래스 XII),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Discoidin domain receptor, RTK 클래스 XIII), RET 수용체(RTK 클래스 XIV), KLG 수용체(RTK 클래스 XV), RYK 수용체(related to receptor tyrosine kinase, RTK 클래스 XVI), 및 MuSK 수용체(Muscle-Specific Kinase Receptor, RTK 클래스 XVII)인, 융합단백질
3 3
삭제
4 4
삭제
5 5
삭제
6 6
제1항에 있어서, 형광단백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융합단백질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형광단백질은 녹색형광단백질(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황색형광단백질(yellow fluorescent protein, YFP), 적색형광단백질(red fluorescent protein, RFP), 주황형광단백질(orange fluorescent protein, OFP), 청록색형광단백질(cyan fluorescent protein, CFP), 청색형광단백질(blue fluorescent protein, BFP), 원적색형광단백질(far-red fluorescent protein) 또는 테트라시스테인 모티프(tetracystein motif)인, 융합단백질
8 8
제1항, 제2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융합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9 9
제8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10 10
제9항의 벡터로 숙주세포를 형질전환시킨 형질전환 숙주세포
11 11
제9항의 벡터로 형질전환되어 상기 융합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는 비인간 형질전환 동물
12 12
제9항의 벡터로 형질전환되어 상기 융합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는 형질전환 식물
13 13
수용체 타이로신 인산화효소(Receptor Tyrosine Kinase, RTK) 단백질 또는 상기 RTK 단백질의 리간드 결합 부위가 제거되거나 상기 리간드가 결합하지 않도록 변이된 RTK 변이체 단백질 C-말단에 CRY 또는 PHR이 연결된 융합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프로모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유전자 컨스트럭트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로 숙주세포를 형질전환하여 제조된 형질전환 숙주세포를 준비하는 형질전환 숙주세포 준비단계; 및 배양중인 형질전환 숙주세포에 상기 CRY 또는 PHR의 동형이합체 형성을 유도할 수 있는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광조사단계를 포함하는 RTK를 가역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방법
14 14
수용체 타이로신 인산화효소(Receptor Tyrosine Kinase, RTK) 단백질 또는 상기 RTK 단백질의 리간드 결합 부위가 제거되거나 상기 리간드가 결합하지 않도록 변이된 RTK 변이체 단백질 C-말단에 CRY 또는 PHR이 연결된 융합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프로모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유전자 컨스트럭트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되어 상기 융합단백질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 또는 비인간 형질전환 동물을 준비하는 형질전환 동물 준비단계; 및 상기 형질전환 식물 또는 비인간 형질전환 동물의 특정 기관 또는 조직에 상기 CRY 또는 PHR의 동형이합체 형성을 유도할 수 있는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광조사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또는 비인간 동물의 특정 기관 또는 조직에서의 RTK를 가역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방법
15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 타이로신 인산화효소(Receptor Tyrosine Kinase, RTK) 단백질은 표피성장인자 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RTK 클래스 I), 인슐린 수용체(Insulin Receptor, RTK 클래스 II),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수용체(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RTK 클래스 III), 섬유아세포증식인자 수용체(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RTK 클래스 IV),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수용체(Vascular endothelial cell growth factor receptor, RTK 클래스 V), 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Hepatocyte growth factor receptor, RTK 클래스 VI), TRK 수용체(Tropomyosin-receptor-kinase receptor, RTK 클래스 VII), EPH 수용체(RTK 클래스 VIII), AXL 수용체(RTK 클래스 IX), LKT 수용체(RTK 클래스 X), TIER 수용체(RTK 클래스 XI), 수용체 타이로신 인산화 효소-유사 오펀 수용체(receptor tyrosine kinase-like orphan receptors, RTK 클래스 XII),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Discoidin domain receptor, RTK 클래스 XIII), RET 수용체(RTK 클래스 XIV), KLG 수용체(RTK 클래스 XV), RYK 수용체(related to receptor tyrosine kinase, RTK 클래스 XVI), 및 MuSK 수용체(Muscle-Specific Kinase Receptor, RTK 클래스 XVII)인, 방법
16 16
삭제
17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숙주세포는 동물세포 또는 식물세포인, 방법
18 18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융합단백질은 형광단백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9 19
제18항에 있어서,상기 형광단백질은 녹색형광단백질(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황색형광단백질(yellow fluorescent protein, YFP), 적색형광단백질(red fluorescent protein, RFP), 주황형광단백질(orange fluorescent protein, OFP), 청록색형광단백질(cyan fluorescent protein, CFP), 청색형광단백질(blue fluorescent protein, BFP), 원적색형광단백질(far-red fluorescent protein) 또는 테트라시스테인 모티프(tetracystein motif)인, 방법
20 20
수용체 타이로신 인산화효소(Receptor Tyrosine Kinase, RTK) 단백질 또는 상기 RTK 단백질의 리간드 결합 부위가 제거되거나 상기 리간드가 결합하지 않도록 변이된 RTK 변이체 단백질 C-말단에 CRY 또는 PHR이 연결된 융합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프로모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유전자 컨스트럭트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로 숙주세포를 형질전환하여 제조된 형질전환 숙주세포를 준비하는 형질전환 숙주세포 준비단계; 배양중인 형질전환 숙주세포의 배지에 후보물질을 처리하는 후보물질 처리단계; 배양중인 형질전환 숙주세포에 상기 CRY 또는 PHR의 동형이합체 형성을 유도할 수 있는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광조사단계; 및 후보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기 광조사에 의하여 RTK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후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TK 신호전달 억제제 후보물질 스크리닝 방법
21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 타이로신 인산화효소(Receptor Tyrosine Kinase, RTK) 단백질은 표피성장인자 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RTK 클래스 I), 인슐린 수용체(Insulin Receptor, RTK 클래스 II),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수용체(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RTK 클래스 III), 섬유아세포증식인자 수용체(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RTK 클래스 IV),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수용체(Vascular endothelial cell growth factor receptor, RTK 클래스 V), 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Hepatocyte growth factor receptor, RTK 클래스 VI), TRK 수용체(Tropomyosin-receptor-kinase receptor, RTK 클래스 VII), EPH 수용체(RTK 클래스 VIII), AXL 수용체(RTK 클래스 IX), LKT 수용체(RTK 클래스 X), TIER 수용체(RTK 클래스 XI), 수용체 타이로신 인산화 효소-유사 오펀 수용체(receptor tyrosine kinase-like orphan receptors, RTK 클래스 XII),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Discoidin domain receptor, RTK 클래스 XIII), RET 수용체(RTK 클래스 XIV), KLG 수용체(RTK 클래스 XV), RYK 수용체(related to receptor tyrosine kinase, RTK 클래스 XVI), 및 MuSK 수용체(Muscle-Specific Kinase Receptor, RTK 클래스 XVII)인, 방법
22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물질은 펩티드, 단백질, 비펩티드성 화합물, 합성 화합물, 발효 생산물, 세포 추출액, 식물 추출액, 동물 조직 추출액 또는 혈장인, 방법
23 23
삭제
24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숙주세포는 동물세포 또는 식물세포인, 방법
25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단백질은 형광단백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6 26
제25항에 있어서,상기 형광단백질은 녹색형광단백질(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황색형광단백질(yellow fluorescent protein, YFP), 적색형광단백질(red fluorescent protein, RFP), 주황형광단백질(orange fluorescent protein, OFP), 청록색형광단백질(cyan fluorescent protein, CFP), 청색형광단백질(blue fluorescent protein, BFP), 원적색형광단백질(far-red fluorescent protein) 또는 테트라시스테인 모티프(tetracystein motif)인,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50203837 US 미국 FAMILY
2 WO2013133643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5203837 US 미국 DOCDBFAMILY
2 WO2013133643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과학기술부 (재)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글로벌프론티어사업(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 최소유전체 합성 및 DNA scaffold 기반 지능형 바이오시스템 구축
2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기술원 산학협력단 미래형시스템헬스케어연구개발 시스템스 헬스케어 융합연구 기반구축을 위한 조사연구
3 교육과학기술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막 가소성 연구센터 생체막 가소성 연구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