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산화아연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15173902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산화아연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산화아연계 발광소자는 n형 클래드층의 노출된 부분에 레늄(Re), 텅스텐(W), 몰리브덴(Mo), 탄탈륨(Ta)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n형 제1오믹컨택트층과, n형 제1오믹컨택트층 위에 니오븀(Nb), 탄탈륨(Ta), 크롬(Cr), 바나듐(V), 마그네슘(Mg), 지르코늄(Zr), 알루미늄(Al), 하프늄(Hf), 타이타늄(Ti), 베릴륨(Be), 망간(Mn) 중 상기 n형 제1오믹컨택트층과 다른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된 n형 제2 오믹컨택트층 및 n형 제2 오믹컨택트층 위에 금으로 형성된 n형 제3 오믹컨택트층을 구비한다. 이러한 산화아연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n형 및 p형 클래드층과의 오믹접촉 특성이 개선되어 발광소자의 패키징 시 와이어 본딩 효율 및 수율을 높일 수 있고, 낮은 비접촉 저항과 우수한 전류-전압 특성에 의해 소자의 발광효율 및 소자 수명을 향샹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Int. CL H01L 33/40 (2014.01)
CPC H01L 33/40(2013.01) H01L 33/40(2013.01) H01L 33/40(2013.01) H01L 33/40(2013.01) H01L 33/40(2013.01) H01L 33/4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40001700 (2004.01.09)
출원인 광주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10-0538041-0000 (2005.12.14)
공개번호/일자 10-2005-0073338 (2005.07.1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051220)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4.01.09)
심사청구항수 1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광주과학기술원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성주 대한민국 광주광역시북구
2 성태연 대한민국 광주광역시북구
3 김경국 대한민국 경기도시흥시
4 김상호 대한민국 광주광역시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재량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번로 ***, *층(도천동, 광주경제고용진흥원)(가온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광주과학기술원 광주광역시 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2004.01.09 수리 (Accepted) 1-1-2004-0009552-76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4.07.27 수리 (Accepted) 4-1-2004-0031183-30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05.09.13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05.10.19 수리 (Accepted) 9-1-2005-0069054-23
5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05.11.2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05-0601666-84
6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07.08.02 수리 (Accepted) 1-1-2007-0564535-21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1.09.15 수리 (Accepted) 4-1-2011-5187089-85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n형 클래드층과 p형 클래드층 사이에 주입된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산화아연계 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n형 클래드층의 노출된 부분에 레늄(Re), 텅스텐(W), 몰리브덴(Mo), 탄탈륨(Ta)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n형 제1오믹컨택트층과; 상기 n형 제1오믹컨택트층 위에 니오븀(Nb), 탄탈륨(Ta), 크롬(Cr), 바나듐(V), 마그네슘(Mg), 지르코늄(Zr), 알루미늄(Al), 하프늄(Hf), 타이타늄(Ti), 베릴륨(Be), 망간(Mn) 중 상기 n형 제1오믹컨택트층과 다른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된 n형 제2 오믹컨택트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아연계 발광소자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형 제2 오믹컨택트층 위에 금으로 형성된 n형 제3오믹컨택트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아연계 발광소자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형 클래드층 위에 형성되며 구리계 산화물, 은계 산화물, 인듐계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1군 물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에 첨가원소가 첨가된 화합물로 형성된 p형 제1오믹컨택트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아연계 발광소자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형 제1오믹컨택트층은 상기 구리계 산화물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첨가원소는 Fe, Cr, Co, Rh, La, Ag, Ni, Zn, Pd, Mg, Li, Nd, Eu, V 원소 또는 이 원소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2군 첨가원소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되고, 상기 은계 산화물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첨가원소는 Fe, Cr, Co, Rh, La, Al, Ga, In, Sc, Ni, Zn, Pd, Mg, Li, V 원소 또는 이 원소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3군 첨가원소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되고, 상기 인듐계 산화물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첨가원소는 Mg, Ag, Zn, Sc, Hf, Zr, Ta, Co, Rh, La, Al, Ga, Ni, Pd, Li, Sn, V 원소 또는 이 원소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4군 첨가원소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아연계 발광소자
5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형 제1오믹컨택트층 위에 Ni, Au, Cu, Co, Zn, Pd, Pt, Ru, Ag, Rh, Al을 포함하는 제5군 원소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된 p형 제2오믹컨택트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아연계 발광소자
6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형 클래드층 위에 형성되며, 팔라듐코발트 산화물, 팔라듐크롬 산화물, 팔라듐로듐 산화물, 주석 산화물, 주석아연 산화물, 카드뮴주석 산화물, 나트륨코발트 산화물, 칼슘코발트 산화물, 아연안티몬 산화물, 란탄니켈 산화물, 나트륨니켈 산화물, 리튬니켈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6군 물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p형 제1오믹컨택트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아연계 발광소자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형 제1오믹컨택트층 위에 Ni, Au, Cu, Co, Zn, Pd, Pt, Ru, Ag, Rh, Al을 포함하는 제5군 원소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된 제2오믹컨택트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아연계 발광소자
8 8
n형 클래드층과 p형 클래드층 사이에 주입된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산화아연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n형 제2오믹컨택트층 형성단계 이후에 금으로 n형 제3오믹컨택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아연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0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단계는 200℃ 내지 90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아연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1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단계는 200℃ 내지 90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아연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