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전기방사 나노/마이크로 섬유 네트를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섬유 네트를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방법(A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film having nano-structure including nano/micro fiber network formed by electrospinnin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ilm having nano-structure including nano/micro fiber network formed by electrospinning)

  • 기술번호 : KST2017016972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고분자 물질을 이용한 전기방사와 이에 대한 증착 공정을 수행하므로, 나노구조체 필름 두께, 밀도 등의 성질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고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며, 또한 전기방사법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섬유네트를 제조한 후 증착하여 구조체를 형성시키므로, 섬유구조체간 접촉성을 향상시켜 전도성 물질 증착시 접촉저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장치 및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방사 나노/마이크로 섬유 네트를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장치는, 고분자용액을 전기방사(electrospinning)하는 실린지(syringe)부, 실린지부의 하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실린지부에서 방사된 섬유가 배열되어 섬유네트를 형성하는 컬렉터(collector) 기능을 수행하는 프레임부, 및 프레임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프레임부를 상하이동 및 회전 운동시키는 지그(jig)부를 포함한다.
Int. CL B82B 3/00 (2016.06.09) H01B 13/00 (2016.06.09) C23C 14/14 (2016.06.09) C23C 14/08 (2016.06.09) C23C 16/06 (2016.06.09) C23C 16/40 (2016.06.09) B82Y 40/00 (2016.06.09)
CPC B82B 3/0004(2013.01) B82B 3/0004(2013.01) B82B 3/0004(2013.01) B82B 3/0004(2013.01) B82B 3/0004(2013.01) B82B 3/0004(2013.01) B82B 3/0004(2013.01) B82B 3/0004(2013.01) B82B 3/0004(2013.01) B82B 3/000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053178 (2016.04.29)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7-0123504 (2017.11.0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04.29)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허진우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2 전환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안치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이동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상수 대한민국 서울시 서초구 효령로**길 ** *층 (브릿지웰빌딩)(에이치앤피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4.29 수리 (Accepted) 1-1-2016-0416305-66
2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7.11.1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783899-42
3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8.01.05 수리 (Accepted) 1-1-2018-0017163-45
4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8.01.05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8-0017159-62
5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8.01.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042718-18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4.24 수리 (Accepted) 4-1-2019-5081392-49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전기방사 나노/마이크로 섬유 네트를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장치에 있어서,고분자용액을 전기방사(electrospinning)하는 실린지(syringe)부;상기 실린지부의 하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실린지부에서 방사된 섬유가 배열되어 섬유네트를 형성하고, 전도성 또는 비전도성의 소재로 형성되며, 제1전극과 제2전극을 구비하고, 프레임의 형상인 프레임부; 및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를 상하이동 및 회전 운동시키고, 평행한 2개의 전극 형상인 지그부전극을 구비하는 지그(jig)부;를 포함하고,상기 프레임부가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평행하게 설치된 2개의 전극으로 구성되는 상기 제1전극에 전기를 공급하여 전기장이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에 상기 나노섬유가 일정한 간격이며 한 방향으로 형성되며,상기 프레임부가 비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지그부전극에 전기를 공급하여 전기장이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에 상기 나노섬유가 일정한 간격이며 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 나노/마이크로 섬유네트를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장치
2 2
삭제
3 3
청구항1에 있어서,상기 지그부는, 상기 프레임부가 상하이동 또는 회전 운동하는 경우, 컬렉터(collector)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 나노/마이크로 섬유 네트를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장치
4 4
삭제
5 5
청구항1에 있어서,상기 섬유네트에 증착물질을 증착시켜 나노구조체를 생성하는 증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 나노/마이크로 섬유 네트를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장치
6 6
청구항5에 있어서,상기 증착물질은, 금(Au), 은(Ag), 팔라듐(Pd), 알루미늄(Al), 구리(Cu), 크롬(Cr), 철(Fe), 마그네슘(Mg), 망간(Mn), 니켈(Ni), 타이타늄(Ti), 아연(Zn), 납(Pb), 바나듐(V), 코발트(Co), 어븀(Er), 칼슘(Ca), 홀뮴(Ho), 사마륨(Sm), 스칸듐(Sc), 터븀(Tb), 몰리브덴(Mo) 및 백금(Pt)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 나노/마이크로 섬유 네트를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장치
7 7
청구항5에 있어서,상기 증착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SnO2, ZnO, AZO(Aluminium zinc oxide),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AZTO(Aluminium zinc tin oxide), GZO(Gallium zinc oxide), ATO(Antimony tin oxide), ATO(Antimony tin oxide), ZTO(zinc tin oxide) 및 FTO(Fluorine-doped tin oxid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화물반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 나노/마이크로 섬유 네트를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장치
8 8
청구항5에 있어서,상기 나노구조체를 기판에 전사시키는 전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 나노/마이크로 섬유 네트를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장치
9 9
청구항8에 있어서,상기 기판은, 필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 나노/마이크로 섬유 네트를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장치
10 10
청구항8에 있어서,상기 기판은,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 폴리에터 술폰(PES) 및 폴리스타이렌(P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 나노/마이크로 섬유 네트를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장치
11 11
청구항1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ⅰ) 상기 실린지부로부터 상기 프레임부로 고분자용액을 1차로 전기방사하여, 섬유가 일정한 간격이며 한 방향으로 배열된 섬유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ⅱ) 상기 실린지부로부터 상기 프레임부로 고분자용액을 2차로 전기방사함으로써 섬유적층을 수행하여 상기 섬유네트를 형성하는 단계;(ⅲ) 상기 (ⅱ)단계의 상기 섬유네트에 증착물질을 증착시켜 나노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ⅳ) 상기 (ⅲ)단계의 상기 나노구조체를 기판에 전사하여 나노구조체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방법
12 12
청구항1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ⅰ) 상기 실린지부로부터 상기 프레임부로 고분자용액을 1차로 전기방사하여, 부정형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 (ⅱ) 상기 실린지부로부터 상기 프레임부로 고분자용액을 2차로 전기방사함으로써, 상기 부정형섬유층 상에 섬유가 일정한 간격이며 한 방향으로 배열된 섬유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섬유네트를 형성하는 단계;(ⅲ) 상기 (ⅱ)단계의 상기 섬유네트에 증착물질을 증착시켜 나노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ⅳ) 상기 (ⅲ)단계의 상기 나노구조체를 기판에 전사하여 나노구조체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방법
13 13
청구항1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ⅰ) 상기 실린지부로부터 상기 제1전극으로 고분자용액을 1차로 전기방사하여, 상기 제1전극에 섬유가 일정한 간격이며 한 방향으로 배열된 섬유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ⅱ) 상기 제1전극에 상기 제2전극이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구성한 후, 상기 섬유패턴이 형성된 위로 상기 실린지부로부터 고분자용액을 2차로 전기방사함으로써 섬유적층을 수행하여 섬유네트를 형성하는 단계; (ⅲ) 상기 (ⅱ)단계의 상기 섬유네트에 증착물질을 증착시켜 나노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ⅳ) 상기 (ⅲ)단계의 상기 나노구조체를 기판에 전사하여 나노구조체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방법
14 14
청구항3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ⅰ) 상기 실린지부로부터 상기 지그부로 고분자용액을 1차로 전기방사하여, 상기 프레임부에 섬유가 일정한 간격이며 한 방향으로 배열된 섬유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ⅱ) 상기 지그부가 상기 프레임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실린지부로부터 상기 지그부로 고분자용액을 2차로 전기방사함으로써, 상기 섬유패턴 상에 섬유가 일정한 간격이며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게 하여 상기 섬유네트를 형성하는 단계;(ⅲ) 상기 (ⅱ)단계의 상기 섬유네트에 증착물질을 증착시켜 나노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ⅳ) 상기 (ⅲ)단계의 상기 나노구조체를 기판에 전사하여 나노구조체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방법
15 15
청구항14에 있어서,상기 프레임부는, 비전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방법
16 16
청구항3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ⅰ) 상기 실린지부로부터 상기 지그부로 고분자용액을 1차로 전기방사하여, 상기 지그부에 섬유가 일정한 간격이며 한 방향으로 배열된 제1섬유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ⅱ) 상기 지그부가 상기 프레임부를 상승 이동시키고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제1섬유패턴을 접촉시켜, 상기 프레임부에 섬유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ⅲ) 상기 지그부가 상기 프레임부를 회전 및 하강 이동시키고, 상기 실린지부로부터 상기 지그부로 고분자용액을 2차로 전기방사하여 제2섬유패턴을 형성시킨 후, 상기 지그부가 상기 프레임부를 상승 이동시키고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제2섬유패턴을 접촉시켜, 상기 프레임부에 상기 섬유네트를 형성하는 단계;(ⅳ) 상기 (ⅲ)단계의 상기 섬유네트에 증착물질을 증착시켜 나노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ⅴ) 상기 (ⅳ)단계의 상기 나노구조체를 기판에 전사하여 나노구조체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방법
17 17
청구항16에 있어서,상기 프레임부는, 비전도성인 일부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체 필름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나노종합기술원 과학기술국제화사업〉글로벌 R&D기반구축사업〉해외우수연구기관유치사업 나노종합기술원-드렉셀 FIRST 나노기술 Co-OP 센터
2 미래창조과학부 나노종합기술원 원천연구개발사업〉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선행공정·플랫폼기술연구개발사업 원천연구개발사업〉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선행공정·플랫폼기술연구개발사업
3 미래창조과학부 이화여자대학교 원천기술개발사업〉글로벌프런티어사업〉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실시간 메타 나노구조 관찰/가공/분석 플랫폼 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