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블록 공중합체 나노패턴 및 그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20005937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자기조립을 이용한 나노패터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록 공중합체의 자기조립 성질을 이용하여 라멜라형, 실린더형 등 원하는 형태의 나노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향적(bottom-up) 블록 공중합체 나노패터닝에 의한 웨이퍼 스케일 이상 대면적의 균일한 플라스몬 나노갭 어레이를 실증하였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블록 공중합체 나노패턴에 간단히 금을 부착하여, 복합하고 가혹한 리소그래피 공정 없이도 대면적의 균일하고, 주기적으로 반복되며, 미세하게 플라스몬 조절이 가능한 금 나노갭 어레이를 생성하였다. 특히, 다른 대면적 패턴화 공정의 해상도(resolution) 한계를 넘어, 블록 공중합체 나노패턴이 가지는 수십 나노미터 스케일의 전형적인 형태는 가시광 또는 근적외선 영역에서 플라스몬 공명을 가능케 하고, 가시광 레이저 기반 SERS 감지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 부착 공정은 최대한의 근접장 증강(near field enhancement)을 위해, 단위 구조체 사이에서의 나노갭에 대한 전례없는 조절을 가능케 한다. 생성된 상승적으로 확연한 플라스몬 성능은, 표면 플라스몬 굴절률 감지, 뛰어난 성능을 가지는 SERS 기판을 포함하여, 다양한 용도에 적용 가능하다. 전체적으로, 이 유망한 결과는 저가이고 대형화 가능한 자기조립 전략이, 생물감지(biosensing)와 같은 다양한 용도에 널리 활용될 수 있는 다용도의 플라스몬 나노구조를 제공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Int. CL B82B 1/00 (2017.01.01) G03F 7/00 (2006.01.01) H01L 21/3065 (2006.01.01) H01L 21/285 (2006.01.01) H01L 29/06 (2006.01.01) H01L 21/027 (2006.01.01) B82B 3/00 (2017.01.01) C08L 101/00 (2006.01.01) C23C 14/20 (2006.01.01) G01N 21/65 (2006.01.01) B82Y 40/00 (2017.01.01) B82Y 20/00 (2017.01.01)
CPC B82B 1/008(2013.01) B82B 1/008(2013.01) B82B 1/008(2013.01) B82B 1/008(2013.01) B82B 1/008(2013.01) B82B 1/008(2013.01) B82B 1/008(2013.01) B82B 1/008(2013.01) B82B 1/008(2013.01) B82B 1/008(2013.01) B82B 1/008(2013.01) B82B 1/00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80144419 (2018.11.21)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060578 (2020.06.0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8.11.21)
심사청구항수 2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상욱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진형민 대전광역시 유성구
3 김장환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플러스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번지 (둔산동, 사학연금회관)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11.21 수리 (Accepted) 1-1-2018-1161169-31
2 직권정정안내서
Notification of Ex officio Correction
2018.11.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8-0186655-19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4.24 수리 (Accepted) 4-1-2019-5081392-49
4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9.08.08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5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9.10.08 수리 (Accepted) 9-1-2019-0044761-59
6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0.02.2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142357-00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04.21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0409723-01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0.04.21 수리 (Accepted) 1-1-2020-0409731-66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11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0.08.1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545977-8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블록 공중합체의 자기조립에 의해 형성된 나노패턴; 및상기 나노패턴 상에 형성된 금속층;을 포함하는 나노구조체로서,상기 나노구조체는 금속층이 형성된 단위구조체가 간격을 갖고 주기적으로 배열됨으로써 형성된, 금속 나노갭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인, 나노구조체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패턴은 육각조밀패턴(hexagonal-close pattern)인, 나노구조체
3 3
삭제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우레탄, 에폭시 중합체, 폴리아릴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설폰, 폴리실록산, 폴리실라잔, 폴리에테르, 폴리우레아, 폴리올레핀, 비닐계 부가 중합체 및 아크릴계 중합체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나노구조체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금속은 금(gold), 백금, 은(silver), 팔라듐, 알루미늄, 크롬, 티타늄 및 구리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나노구조체
6 6
제1항에 있어서, 기재를 더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구조단위들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중성층을 더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8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실리콘, 산화그래핀,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비정질탄소, 세라믹, 금속, 금속산화물, 및 전이금속 칼코게나이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이 형성된 단위 구조체의 반복 주기는 200 nm 미만인, 나노구조체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두께는 100 nm 이하인, 나노구조체
11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이 형성된 단위 구조체 사이의 간격은 50 nm 이하인, 나노구조체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직경 2인치 이상의 원에 상당하는 면적에서, 상기 간격의 상대표준편차는 20% 이하인, 나노구조체
13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이 형성된 단위 구조체의 패턴 밀도는 108 mm-2 이상인, 나노구조체
14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이 형성된 단위 구조체 사이의 핫-스팟의 밀도는 108 mm-2 이상인, 나노구조체
15 15
블록 공중합체를 자기조립하여 나노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패턴 상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제조방법으로서,상기 나노구조체는 금속층이 형성된 단위구조체가 간격을 갖고 주기적으로 배열됨으로써 형성된, 금속 나노갭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인, 나노구조체 제조방법
16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패턴 형성 단계는,두 종류 이상의 단위체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박막 형성 단계; 및상기 블록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의 단위체 블록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제조방법
17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패턴 형성 단계는,단위체 블록이 선택적으로 제거된 후 잔류한 단위체 블록을 가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제조방법
18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패턴 형성 단계는,기판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상기 기판 표면에 상기 블록 공중합체 패턴이 형성되는, 나노구조체 제조방법
19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 단계는,상기 기판에,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구조단위들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제조방법
20 20
제16항에 있어서, 단위체 블록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는,O2/Ar 플라즈마 반응 이온 에칭(RIE)에 의해 선택적으로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제조방법
21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금속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구조체 제조방법
22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나노구조체
23 23
삭제
24 24
삭제
25 25
삭제
26 26
제22항에 기재된 나노구조체의 상기 금속층이 형성된 단위 구조체 사이의 간격 조절 방법으로서, 상기 금속층의 두께를 증가시켜서 상기 간격을 감소시키는, 나노구조체의 단위 구조체 사이의 간격 조절 방법
27 27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구조체는 표면 증강 라만 분광법(surface-enhanced Raman spectroscopy, SERS)에 사용되는, 나노구조체
28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구조체는 SERS에 사용되는, 나노구조체
29 29
제27항에 있어서, SERS 증강 인자(EF)가 108 이상인, 나노구조체
30 30
제28항에 있어서, SERS 증강 인자(EF)가 108 이상인, 나노구조체
31 31
제29항에 있어서, 직경 2인치 이상의 원에 상당하는 면적에서의 상기 증강 인자(EF)의 상대표준편차(relative standard deviation)가 15% 이하인, 나노구조체
32 32
제30항에 있어서, 직경 2인치 이상의 원에 상당하는 면적에서의 상기 증강 인자(EF)의 상대표준편차가 15% 이하인, 나노구조체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원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다차원 나노조립제어 창의연구단
2 미래창조과학부 (재)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미래소재연구단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 미래소재 연구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원천기반공정 및 신기능 소재·부품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