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계층형 다공구조를 갖는 2차원 형태의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1000819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계층형 다공구조를 갖는 2차원 형태의 나노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록공중합체, 2종의 단일공중합체 및 전구체를 포함함으로써, 나노시트의 두께와 메조기공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다양하게 변형된 나노시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포타슘이온 이차전지의 음극재로도 사용될 수 있다.
Int. CL C08J 9/00 (2006.01.01) H01M 4/587 (2010.01.01) H01M 10/054 (2010.01.01) H01G 11/36 (2013.01.01) B82B 3/00 (2017.01.01) C08L 53/00 (2006.01.01) B82Y 40/00 (2017.01.01)
CPC C08J 9/00(2013.01) H01M 4/587(2013.01) H01M 10/054(2013.01) H01G 11/36(2013.01) B82B 3/00(2013.01) C08L 53/00(2013.01) C08L 101/00(2013.01) B82Y 40/0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123513 (2019.10.07)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10-2214240-0000 (2021.02.03)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210210)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0.07)
심사청구항수 1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진우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김성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황종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이지성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충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산로 **, *층(양재동, 베델회관)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10.07 수리 (Accepted) 1-1-2019-1017687-15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9.10.07 수리 (Accepted) 1-1-2019-1021206-28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4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5.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6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0.07.0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0-0162918-40
7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0.11.0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766899-9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블록공중합체, 2종의 단일공중합체 및 전구체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형 다공구조를 갖는 2차원 형태의 나노시트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시트는 메조기공과 마이크로 기공이 혼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시트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시트는 메조기공과 마이크로 기공이 1 : 0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시트는 표면적이 1500 내지 3000 m2g-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시트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시트의 두께는 0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공중합체와 2종의 단일공중합체는 1 : 25 내지 18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시트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b-스티렌(poly(ethylene oxide-b-styrene), PEO-b-PS), 폴리에틸렌옥사이드-b-프로필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b-propylene oxide), PEO-b-PPO), 폴리에틸렌옥사이드-b-이소프렌(poly(ethylene oxide-b-isoprene), PEO-b-PI), 폴리에틸렌옥사이드-b-부틸메타크릴레이트(poly(ethylene oxide-b-butyl methacrylate), PEO-b-PBMA)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b-프로필렌(poly(ethylene oxide-b-propylene), PEO-b-PP)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시트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공중합체의 분자량은 25 내지 50 kg mol-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시트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공중합체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비닐피리딘(polyvinyl pyridin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폴리이소프렌(polyisoprene),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polypropylene oxide),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polybutyl methacrylate) 및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시트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종의 단일공중합체의 분자량은 상기 블록공중합체의 분자량에 비하여 5 내지 10배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시트
11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체는 페놀-포름알데하이드 수지(phenol-formaldehyde resin), 멜라닌-포름알데하이드 수지(melamine-formaldehyde resin) 또는 퍼퓨릴 알코올(furfuryl alcohol)의 탄소 전구체; 에틸 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메틸 실리케이트(tetramethyl orthosilicate, TMOS),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또는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glymo)의 실리카 전구체; 및 전이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시트
12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공중합체와 전구체는 1 : 1-1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시트
13 13
(A) 블록공중합체, 2종의 단일공중합체, 탄소 전구체, 실리카 전구체 및 유기용매를 혼합하는 단계;(B) 상기 혼합물을 40 내지 60 ℃에서 교반하면서 유기용매를 서서히 증발 시 계면에너지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블록공중합체가 상기 2종의 단일공중합체 계면에 위치하고 유기용매가 더 증발할수록 블록공중합체, 탄소 전구체 및 실리카 전구체의 자기조립을 통해 나노시트 형태의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나노시트 형태의 복합체를 700 내지 900 ℃로 열처리하여 상기 블록공중합체와 2종의 단일공중합체를 제거함으로써 메조기공이 형성된 탄소-실리카 복합체를 수득하는 단계; 및(D) 상기 탄소-실리카 복합체에서 실리카를 제거함으로써 마이크로 기공이 형성된 나노시트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형 다공구조를 갖는 2차원 형태의 나노시트의 제조방법
14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시트는 메조기공과 마이크로 기공이 혼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시트의 제조방법
15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나노시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16 16
제15항의 이차전지용 음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7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는 포타슘이온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8 18
제15항의 이차전지용 음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
19 19
제15항의 이차전지용 음극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통신장비, 에너지저장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 및 운송수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다차원 자기조립기반 계층구조 다공성 에너지소재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원천기술개발사업 (EZBARO)PEMWE용 저가의 고성능 수소 및 산소발생반응 촉매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