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3차원 계층적 다공성 구조의 금속-유기 골격체 및 그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02096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개시된 금속-유기 골격체는, 100nm 내지 1㎛의 직경을 가지며 3차원으로 연결되는 정렬된 마이크로 기공 및 상기 마이크로 기공과 연결되며 직경이 1nm 내지 10nm인 나노 기공을 갖는다. 이러한 금속-유기 골격체는 마이크로 기공을 통해 유체의 원할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압력 강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노 기공으로 인해 큰 비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Int. CL C07F 3/06 (2006.01.01) B82B 3/00 (2017.01.01) B82Y 40/00 (2017.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071893 (2021.06.03)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21856 (2022.02.2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102596   |   2020.08.14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6.03)
심사청구항수 1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석우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배태현 대전광역시 유성구
3 김기선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이진호 대전광역시 유성구
5 이홍주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영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 *층 **세기특허법률사무소 (역삼동, 세일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6.03 수리 (Accepted) 1-1-2021-0640979-1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100nm 내지 1㎛의 직경을 가지며 3차원으로 연결되는 정렬된 마이크로 기공 및 상기 마이크로 기공과 연결되며 직경이 1nm 내지 10nm인 나노 기공을 갖는 금속-유기 골격체
2 2
다공성 주형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다공성 주형의 기공 내에 유기 리간드 전구체를 제공하는 단계;상기 다공성 주형과 결합된 상기 유기 리간드 전구체에 금속 이온을 제공하여 금속-유기 전구체를 합성하는 단계; 및상기 다공성 주형을 제거하여, 상기 금속-유기 전구체 내에 나노 기공과 연결되며 3차원으로 서로 연결되는 정렬된 마이크로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유기 골격체의 제조 방법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기공은 100nm 내지 1㎛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나노 기공은 1nm 내지 10nm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유기 골격체의 제조 방법
4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리간드 전구체는, 벤젠-1,4-디카르복실산(benzene-1,4-dicarboxylic acid), 벤젠-1,3,5-트리카르복실산(benzene-1,3,5-tricarboxylic acid), 2-메틸이미다졸(2-methylimidazole), 에탄디오산(ethanedioic acid), 프로판디오산(propanedioic acid), 부탄디오산(butanedioic acid), 펜탄디오산(pentanedioic acid), o-프탈산(o-phthalic acid), m-프탈산(m-phthalic acid), p-프탈산(p-phthalic acid), 2-히드록시-1,2,3-프로판트리카르복실산(2-hydroxy-1,2,3-propanetricarboxylic acid), 1H-1,2,3-트리아졸(1H-1,2,3-triazole), 1H-1,2,4-트리아졸(1H-1,2,4-triazole) 및 3,4-디히드록시-3-사이클로부텐-1,2-디온(3,4-dihydroxy-3-cyclobutene-1,2-dione)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유기 골격체의 제조 방법
5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리간드 전구체에 금속 이온을 제공하기 위하여, 아연(Zn), 구리(Cu), 니텔(Ni), 코발트(Co), 철(Fe), 말간(Mn), 크롬(Cr), 카드뮴(Cd), 마그네슘 (Mg), 칼슘(Ca), 지르코늄(Zr), 가돌리늄(Gd), 유로퓸(Eu) 및 터븀(Tb)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 상기 다공성 주형을 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유기 골격체의 제조 방법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은, 용매로서 물(탈이온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부탄올(butanol),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아세톤(acetone),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벤젠(benzene), 사염화탄소(carbon tetrachloride), 클로로포름(chloroform),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다이메톡시에탄(dimethoxyethane), 다이에틸포름아마이드(diethylformamide), 다이옥세인(dioxane), 에테르(ether),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글리세린(glycerin), 펜탄(pentane), 헥산(hexane), 헵탄(heptane), 메틸(methyl), t-부틸 에테르(t-butyl ether), 자일렌(xylene), t-부틸 알코올(t-butyl alcohol) 및 톨루엔(tolu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유기 골격체의 제조 방법
7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주형은 근접장 나노패터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유기 골격체의 제조 방법
8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주형은, 60℃ 이하에서 산소 플라즈마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유기 골격체의 제조 방법
9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주형은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유기 골격체의 제조 방법
10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유기 골격체가 상기 다공성 주형의 기공을 충진하도록, 상기 다공성 주형의 기공 내에 유기 리간드 전구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 주형과 결합된 상기 유기 리간드 전구체에 금속 이온을 제공하는 단계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유기 골격체의 제조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AIST KAIST자체연구사업 계층 구조형 촉매를 활용한 고성능 실내공기 정화 시스템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 푸리에 역설계를 통한 최적 3차원 나노 모듈라 소재 제작 및 응용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 푸리에 역계산을 활용한 소재 형상 제어 및 광학 소자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