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1차원 및 2차원 양자 나노구조의 광 특성의 정확한 전산 모사를 위한 제1원리 기반의 유효질량 근사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

  • 기술번호 : KST2022005560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양자 나노구조의 광 특성의 정확한 전산 모사를 위한 제1원리 기반의 유효질량 근사 시뮬레이션 기술에 관한 것으로, 양자 나노구조에 대한 제1원리의 DFT(density functional theory; 밀도 함수 이론) 계산을 통해 EMA(effective mass approximation; 유효 질량 근사)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DFT 계산을 통해 생성된 EMA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EMA 계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EMA 계산을 통해 생성된 전자 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 나노구조의 광 특성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t. CL B82B 3/00 (2017.01.01) C09K 11/88 (2006.01.01) C09K 11/56 (2006.01.01) B82Y 35/00 (2017.01.01) B82Y 20/00 (2017.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137711 (2021.10.15)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63722 (2022.05.1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148999   |   2020.11.10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10.15)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용훈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양성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길 ** (논현동) 삼성빌딩 *층(피앤티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10.15 수리 (Accepted) 1-1-2021-1184274-04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03.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양자 나노구조의 광 특성의 정확한 전산 모사를 위한 제1원리 기반의 유효질량 근사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양자 나노구조에 대한 제1원리의 DFT(density functional theory; 밀도 함수 이론) 계산을 통해 EMA(effective mass approximation; 유효 질량 근사)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DFT 계산을 통해 생성된 EMA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EMA 계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EMA 계산을 통해 생성된 전자 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 나노구조의 광 특성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원리 기반의 유효질량 근사 시뮬레이션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양자 나노구조는1차원 나노로드(nanorod) 및 2차원 나노플레이트(nanoplatelet)를 포함하는, 제1원리 기반의 유효질량 근사 시뮬레이션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EMA 파라미터는유효 전자 및 홀 질량(effective electron and hole mass), 유전 상수(dielectric constant), 평활화(smoothing)된 콘-샴(Kohn-Sham) 포텐셜, 길이 스케일링 계수(length scaling factor) 및 에너지 스케일링 계수(energy scaling factor)를 포함하는, 제1원리 기반의 유효질량 근사 시뮬레이션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DFT 계산을 통해 EMA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양자 나노구조의 제1원리 DFT 계산을 수행하여 나노구조의 유전 상수, 전자 및 홀 유효 질량, 그리고 평활화된 콘-샴 포텐셜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원리 기반의 유효질량 근사 시뮬레이션 방법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DFT 계산을 통해 EMA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는상기 콘-샴 포텐셜을 필터(filter) 함수를 사용하여 이중 여과 과정(double filtering process)을 통해 평활화된 콘-샴 포텐셜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원리 기반의 유효질량 근사 시뮬레이션 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광 특성을 획득하는 단계는상기 제1원리 기반의 유효질량 근사 시뮬레이션 계산을 통해 얻어진 상기 양자 나노구조의 포락 함수(envelope function)를 이용하여 광발광(photoluminescence) 강도 특성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원리 기반의 유효질량 근사 시뮬레이션 방법
7 7
양자 나노구조의 광 특성의 정확한 전산 모사를 위한 제1원리 기반의 유효질량 근사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양자 나노구조에 대한 제1원리의 DFT(density functional theory; 밀도 함수 이론) 계산을 통해 EMA(effective mass approximation; 유효 질량 근사)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생성부;상기 DFT 계산을 통해 생성된 EMA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EMA 계산을 수행하는 계산부; 및 상기 EMA 계산을 통해 생성된 전자 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 나노구조의 광 특성을 획득하는 획득부를 포함하는 제1원리 기반의 유효질량 근사 시뮬레이션 시스템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양자 나노구조는1차원 나노로드(nanorod) 및 2차원 나노플레이트(nanoplatelet)를 포함하는, 제1원리 기반의 유효질량 근사 시뮬레이션 시스템
9 9
제7항에 있어서,상기 EMA 파라미터는유효 전자 및 홀 질량(effective electron and hole mass), 유전 상수(dielectric constant), 평활화(smoothing)된 콘-샴(Kohn-Sham) 포텐셜, 길이 스케일링 계수(length scaling factor) 및 에너지 스케일링 계수(energy scaling factor)를 포함하는, 제1원리 기반의 유효질량 근사 시뮬레이션 시스템
10 10
제7항에 있어서,상기 생성부는상기 양자 나노구조의 제1원리 DFT 계산을 수행하여 나노구조의 유전 상수, 전자 및 홀 유효 질량, 그리고 평활화된 콘-샴 포텐셜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원리 기반의 유효질량 근사 시뮬레이션 시스템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생성부는상기 콘-샴 포텐셜을 필터(filter) 함수를 사용하여 이중 여과 과정(double filtering process)을 통해 평활화된 콘-샴 포텐셜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원리 기반의 유효질량 근사 시뮬레이션 시스템
12 12
제7항에 있어서,상기 획득부는상기 제1원리 기반의 유효질량 근사 시뮬레이션 계산을 통해 얻어진 상기 양자 나노구조의 포락 함수(envelope function)를 이용하여 광발광(photoluminescence) 강도 특성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원리 기반의 유효질량 근사 시뮬레이션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원천기술개발사업 (N01210430)(통합EZ)양자점 광특성 계산을 위한 다차원 시뮬레이션 체계 개발(2021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