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신규한 플러렌 유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14022070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신규 플러렌 유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플러렌 유도체는 양이온성의 플러렌과 상대음이온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로 온화한 반응 조건에서 빠르고 간단하게 합성될 수 있으며, 용해도가 높고 안정할 뿐만 아니라 넓은 용매 범위를 갖는다. 또한, 대기 중의 산소나 습기와 반응하지 않아 안정할 뿐만 아니라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구조적 변형이 거의 없다. 나아가, 본 발명의 플러렌 유도체의 음이온은 간단한 방법에 의해 다른 음이온으로 교환이 가능하며, 플러렌의 용해가 요구되는 용매의 종류에 따라 자유로운 용해성질 변환이 가능하다. 플러렌, 탄소나노튜브, 용해
Int. CL B82B 1/00 (2011.01) B82Y 40/00 (2011.01) C01B 31/00 (2011.01) C01B 31/02 (2011.01)
CPC C01B 32/15(2013.01) C01B 32/15(2013.01) C01B 32/15(2013.01) C01B 32/15(2013.01) C01B 32/15(2013.01) C01B 32/15(2013.01) C01B 32/15(2013.01) C01B 32/1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80087966 (2008.09.05)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0984034-0000 (2010.09.17)
공개번호/일자 10-2010-0028976 (2010.03.1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00928)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8.09.05)
심사청구항수 6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송충의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
2 신원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은평구
3 육성훈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다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길 **, 신관 *층~*층, **층(역삼동, 광성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08.09.05 수리 (Accepted) 1-1-2008-0634261-26
2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08.12.15 수리 (Accepted) 1-1-2008-0859392-64
3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0.09.1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0-0403388-69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2.04.26 수리 (Accepted) 4-1-2012-5090770-53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2.06.20 수리 (Accepted) 4-1-2012-5131828-19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2.06.27 수리 (Accepted) 4-1-2012-5137236-29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2.23 수리 (Accepted) 4-1-2017-5028829-4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하기 화학식 1의 플러렌 유도체: [화학식 1] [Q-C]+[MXx]- 상기 식에서, Q는 플러렌을 나타내고, C는 [(CH2)lO]mH 또는 CHhWvXn를 나타내며, W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M은 13 내지 15족 원소를 나타내며, X는 할로겐 원소를 나타내고, 여기서 l은 2 내지 6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50의 정수이며, h, v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되, h, v, 및 n의 합은 3을 나타내고, x는 4 또는 6의 정수를 나타낸다
2 2
제1항에 있어서, Q는 그라펜(graphen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풀러라이트(fullerite), 토러스(torus), 나노버드(nanobud), 나노플라워(nanoflower) 또는 벅키볼(buckyball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
3 3
제2항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s),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WNTs),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NT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
4 4
제1항에 있어서, l은 2 내지 4의 정수이고, n은 1 또는 2의 정수이며, x는 4 또는 6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
5 5
제1항에 있어서, C는 [(CH2)lO]mH을 나타내며, 여기서 l은 4이고, m은 1 내지 10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
6 6
제1항에 있어서, M은 붕소(B), 알루미늄(Al), 갈륨(Ga), 인듐(In), 탈륨(Tl), 인(P) 또는 안티몬(S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
7 7
제1항에 있어서, X는 불소(F), 염소(Cl), 브롬(Br), 또는 요오드(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
8 8
제1항에 있어서, [MXx]-는 안티모니할라이드(SbX6)-, 보론할라이드(BX4)-, 알루미니움할라이드(AlX4)-, 갈리움할라이드 (GaX4)- 또는 인듐할라이드 (InX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
9 9
제1항에 있어서, [MXx]-는 안티모니할라이드(SbX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
10 10
루이스산 촉매의 존재 하에, 플러렌을 알킬화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의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Q-C]+[MXx]- 상기 식에서, Q는 플러렌을 나타내고, C는 [(CH2)lO]mH 또는 CHhWvXn를 나타내며, W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M은 13 내지 15족 원소를 나타내며, X는 할로겐 원소를 나타내고, 여기서 l은 2 내지 6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50의 정수이며, h, v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되, h, v, 및 n의 합은 3을 나타내고, x는 4 또는 6의 정수를 나타낸다
11 11
제10항에 있어서, 루이스산 촉매가 하기 화학식 2의 이온성염 촉매 및 화학식 3의 공유결합성 촉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2] [A+] [MoXp-] [화학식 3] MXr 상기 식에서, A+는 유기 양이온을 나타내고, M은 13 ~ 15족의 원소를 나타내며, X는 할로겐 원소를 나타내고, o는 2 ~ 5의 정수이고, p는 7 ~ 16의 정수이며, r은 3 ~ 5의 정수이다
12 12
제10항에 있어서, A+는 오늄 양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 오늄 양이온은 하기 화학식 4 내지 8의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14 14
제13항에 있어서, R1 내지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C1 ~ C8 알킬기이고, R12, R14 및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C6 알킬기이며, R13 및 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C8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15 15
제13항에 있어서, 화학식 4 내지 8의 화합물은 테트라부틸 암모니움 양이온, 테트라에틸 암모니움 양이온, 테트라메틸 암모니움 양이온, N-부틸-N-메틸피롤리디늄 양이온, N-에틸-N-메틸피롤리디늄 양이온, N-부틸피리디늄 양이온, N-에틸피리디늄 양이온, N-메틸피리디늄 양이온, 테트라부틸 포스포니움 양이온, 테트라에틸 포스포니움 양이온,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양이온,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리움 양이온,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양이온, 1-메틸-3-펜틸-이미다졸리움 양이온, 1-헥실-3-메틸-이미다졸리움 양이온, 1-헵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양이온, 2,3-디메틸-1-프로필-이미다졸리움 양이온, 또는 2,3-디메틸-1-부틸-이미다졸리움 양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16 16
제11항에 있어서, M은 붕소(B), 알루미늄(Al), 갈륨(Ga), 인듐(In), 탈륨(Tl), 인(P) 또는 안티몬(S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17 17
제11항에 있어서, 화학식 2의 화합물의 [MoXp-]는 폴리할로포스페이트(PoXp-), 폴리할로안티모네이트(SboXp-), 폴리할로보레이트(BoXp-), 폴리할로알루미네이트(AloXp-), 폴리할로갈레이트(GaoXp-) 또는 폴리할로인데이트(InoX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18 18
제17항에 있어서, 화학식 2의 화합물의 [MoXp-]는 폴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SboFp-), 폴리플루오로포스페이트(PoFp-), 폴리클로로알루미네이트(AloClp-), 폴리브로모알루미네이트(AloBrp-), 폴리클로로갈레이트(GaoClp-), 폴리브로모갈레이트(GaoBrp-), 폴리클로로인데이트(InoClp-) 또는 폴리브로모인데이트(InoBr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19 19
제11항에 있어서,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테트라부틸 암모니움 운데카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테트라에틸 암모니움 운데카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테트라메틸 암모니움 운데카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테트라부틸 암모니움 운데카플루오로포스페이트, 테트라에틸 암모니움 운데카플루오로포스페이트, 테트라메틸 암모니움 운데카플루오로포스페이트, 테트라부틸 암모니움 헵타클로로알루미네이트, 테트라에틸 암모니움 헵타클로로알루미네이트, 테트라메틸 암모니움 헵타클로로알루미네이트, 테트라부틸 암모니움 헵타브로모알루미네이트, 테트라에틸 암모니움 헵타브로모알루미네이트, 테트라메틸 암모니움 헵타브로모알루미네이트, 테트라부틸 암모니움 헵타클로로갈레이트, 테트라에틸 암모니움 헵타클로로갈레이트, 테트라메틸 암모니움 헵타클로로갈레이트, 테트라부틸 암모니움 헵타브로모갈레이트, 테트라에틸 암모니움 헵타브로모갈레이트, 테트라메틸 암모니움 헵타브로모갈레이트, 테트라부틸 암모니움 헵타클로로인데이트, 테트라에틸 암모니움 헵타클로로인데이트, 테트라메틸 암모니움 헵타클로로인데이트, 테트라부틸 암모니움 헵타브로모인데이트, 테트라에틸 암모니움 헵타브로모인데이트, 테트라메틸 암모니움 헵타브로모인데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운데카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운데카플루오로포스페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헵타클로로알루미네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헵타브로모알루미네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헵타클로로갈레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헵타브로모갈레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헵타클로로인데이트, 또는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헵타브로모인데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20 20
제11항에 있어서,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테트라부틸 암모니움 운데카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테트라에틸 암모니움 운데카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테트라메틸 암모니움 운데카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테트라부틸 암모니움 헵타클로로알루미네이트, 테트라에틸 암모니움 헵타클로로알루미네이트, 테트라메틸 암모니움 헵타클로로알루미네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운데카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또는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헵타클로로알루미네이트 헵타브로모인데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21 21
제11항에 있어서, 화학식 3의 화합물은 안티모니(V)할라이드(SbX5), 포스포러스(V)할라이드(PX5), 보론(III)할라이드(BX3), 알루미니움(III)할라이드(AlX3), 갈리움(III)할라이드 (GaX3) 또는 인듐(III)할라이드 (InX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22 22
제21항에 있어서, 화학식 3의 화합물은 안티모니(V)플루오라이드(SbF5), 포스포러스(V)플루오라이드(PF5), 보론(III)플루오라이드(BF3), 알루미니움(III)클로라이드(AlCl3), 갈리움(III)클로라이드(GaCl3) 또는 인듐(III)클로라이드 (InCl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23 23
제11항에 있어서, 화학식 2의 이온성염 촉매 및 화학식 3의 공유결합성 촉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탄소나노튜브 화합물의 C6단위 (C6-unit; 72
24 24
제10항에 있어서, Q는 그라펜(graphen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풀러라이트(fullerite), 토러스(torus), 나노버드(nanobud), 나노플라워(nanoflower) 또는 벅키볼(buckyball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25 25
제24항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s),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DWNTs),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NT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26 26
제10항에 있어서, l은 2 내지 4의 정수이고, n은 1 또는 2의 정수이며, x는 4 또는 6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27 27
제10항에 있어서, 플러렌의 알킬화 반응은 하기 화학식 9의 화합물 및 화학식 10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플러렌을 반응시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28 28
제27항에 있어서, 플러렌의 알킬화 반응은 화학식 2의 이온성 염 촉매의 존재 하에 화학식 9의 화합물과 플러렌을 반응시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29 29
제27항에 있어서, 플러렌의 알킬화 반응은 화학식 3의 공유결합성 촉매의 존재 하에 화학식 10의 화합물과 플러렌을 반응시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30 30
제27항에 있어서, 화학식 9의 화합물 및 화학식 10의 화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탄소나노튜브 화합물의 C6단위 (C6-unit; 72
31 31
제10항에 있어서, 플러렌의 알킬화 반응은 10 내지 5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32 32
제31항에 있어서, 플러렌의 알킬화 반응은 20 내지 3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33 33
제10항에 있어서, 플러렌의 알킬화 반응은 1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34 34
제33항에 있어서, 플러렌의 알킬화 반응은 1분 내지 1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35 35
하기 화학식 11의 플러렌 유도체: [화학식 11] [Q-C]+[Y]- 상기 식에서, Q는 플러렌을 나타내고, C는 [(CH2)lO]mH 또는 CHhWvXn를 나타내며, W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X는 할로겐 원소를 나타내며, 여기서 l은 2 내지 6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50의 정수이고, h, v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되, h, v, 및 n의 합은 3을 나타내며, [Y]-는 음이온을 나타낸다
36 36
제35항에 있어서, Q는 그라펜(graphen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풀러라이트(fullerite), 토러스(torus), 나노버드(nanobud), 나노플라워(nanoflower) 또는 벅키볼(buckyball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
37 37
제36항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s),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WNTs),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NT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
38 38
제35항에 있어서, l은 2 내지 4의 정수이고, n은 1 또는 2의 정수이며, x는 4 또는 6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
39 39
제35항에 있어서, [Y]-는 단일 원소로 구성된 음이온, 13 ~ 17족 원소 중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원소를 함유하는 음이온 화합물, 옥소 음이온,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된 음이온,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음이온 또는 음이온을 포함하는 고분자성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
40 40
제39항에 있어서, 단일 원소로 구성된 음이온은 N3-, Br-, Cl-, F-, 또는 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
41 41
제39항에 있어서, 13 ~ 17족 원소 중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원소를 함유하는 음이온 화합물은 플러렌 음이온(anionic fullerene), CHB11H12-(anionic carborane), HS-, OCN-, SCN-, CN-, PF6-, NTf2-(bis{(trifluoromethyl)sulfonyl}amide), OTf-(trifluoromethylsulfonate), 또는 BF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
42 42
제39항에 있어서, 옥소 음이온은 CO32-, HCO3-, OH-, NO3-, NO2-, PO43-, HPO42-, H2PO4-, SO42-, 또는 HSO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
43 43
제39항에 있어서,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된 음이온은 R-COO-, R-SO4-(여기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시기 또는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냄), C2O42-, 또는 HC2O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
44 44
제39항에 있어서, 음이온을 포함하는 고분자성 화합물은 RNA로부터 유도된 음이온, DNA로부터 유도된 음이온, 단백질로부터 유도된 음이온, 또는 양이온교환수지로부터 유도된 음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
45 4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학식 1의 플러렌 유도체를 이온 결합성 화합물과 치환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1의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1] [Q-C]+[Y]- 상기 식에서, Q는 플러렌을 나타내고, C는 [(CH2)lO]mH 또는 CHhWvXn를 나타내며, W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X는 할로겐 원소를 나타내며, 여기서 l은 2 내지 6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50의 정수이고, h, v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되, h, v, 및 n의 합은 3을 나타내며, [Y]-는 음이온을 나타낸다
46 46
제45항에 있어서, Q는 그라펜(graphen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풀러라이트(fullerite), 토러스(torus), 나노버드(nanobud), 나노플라워(nanoflower) 또는 벅키볼(buckyball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47 47
제46항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s),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WNTs),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NT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48 48
제45항에 있어서, l은 2 내지 4의 정수이고, n은 1 또는 2의 정수이며, x는 4 또는 6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49 49
제45항에 있어서, 이온 결합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50 50
제49항에 있어서, 유기 양이온은 오늄 양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51 51
제50항에 있어서, 오늄 양이온은 하기 화학식 4 내지 8의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52 52
제51항에 있어서, R1 내지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C1 ~ C8 알킬기이고, R12, R14 및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C6 알킬기이며, R13 및 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C8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53 53
제51항에 있어서, 화학식 4 내지 8의 화합물은 테트라부틸 암모니움 양이온, 테트라에틸 암모니움 양이온, 테트라메틸 암모니움 양이온, N-부틸-N-메틸피롤리디늄 양이온, N-에틸-N-메틸피롤리디늄 양이온, N-부틸피리디늄 양이온, N-에틸피리디늄 양이온, N-메틸피리디늄 양이온, 테트라부틸 포스포니움 양이온, 테트라에틸 포스포니움 양이온,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양이온,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리움 양이온,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양이온, 1-메틸-3-펜틸-이미다졸리움 양이온, 1-헥실-3-메틸-이미다졸리움 양이온, 1-헵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양이온, 2,3-디메틸-1-프로필-이미다졸리움 양이온, 또는 2,3-디메틸-1-부틸-이미다졸리움 양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54 54
제45항에 있어서, 무기 양이온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 또는 전이금속 양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55 55
제54항에 있어서, 무기 양이온은 Cs+, Ca2+, Cr2+, Cr3+, Co2+, Co3+, Cu+, Cu2+, H+, Fe2+, Fe3+, Li+, Mg2+, Ni2+, K+, Ag+, Na+, 또는 Zn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56 56
제49항에 있어서, 단일 원소로 구성된 음이온은 N3-, Br-, Cl-, F-, H-, 또는 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57 57
제49항에 있어서, 13 ~ 17족 원소 중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원소를 함유하는 음이온 화합물은 플러렌 음이온(anionic fullerene), CHB11H12-(anionic carborane), HS-, OCN-, SCN-, CN-, PF6-, NTf2-(bis{(trifluoromethyl)sulfonyl}amide), OTf- (trifluoromethyl sulfonate), 또는 BF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
58 58
제49항에 있어서, 옥소 음이온은 CO32-, HCO3-, OH-, NO3-, NO2-, PO43-, HPO42-
59 59
제49항에 있어서,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된 음이온은 R-COO-, R-SO4-(여기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이드록시기 또는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냄), C2O42-, 또는 HC2O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
60 60
제49항에 있어서, 음이온을 포함하는 고분자성 화합물은 RNA로부터 유도된 음이온, DNA로부터 유도된 음이온, 단백질로부터 유도된 음이온, 또는 양이온교환수지로부터 유도된 음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61 61
제49항에 있어서, [D+][Y-]는 테트라에틸 암모니움 클로라이드 (Et4NCl), 테트라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Me4NCl),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1-buthyl-3-methyl-imidazolium) 클로라이드,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1-buthyl-3-methyl-imidazolium) 트리플루오로메탄 썰포네이트 (trifluoromethane sulfonate; OTf-),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1-buthyl-3-methyl-imidazolium) 테트라플루오로 보레이트 (tetrafluoroborate; BF4-), 염화나트리움 (NaCl), 포타슘 브로마이드 (KBr), 포타슘 나트륨 타트레이트 (Potassium sodium tartrate)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Sodium stearate), 포타슘 스테아레이트 (Potassium stearate), 나트륨 도데실설페이트(Sodium dodecylsulfate; SDS),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potassium hydroxide),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 또는 나트륨 글라이신네이트 (Sodium glycin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62 62
제45항에 있어서, 치환 반응은 10 내지 5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63 63
제45항에 있어서, 치환 반응은 1분 내지 7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64 64
제45항에 있어서, 이온결합성 화합물의 당량비는 화학식 11의 플러렌 유도체의 음이온을 기준으로 1: 5~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렌 유도체의 제조방법
65 65
제1항 또는 제35항에 따른 화학식 1의 플러렌 유도체 또는 화학식 11의 플러렌 유도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
66 66
제65항에 있어서, 용매는 고리형 또는 사슬형 에테르 (ethers), 고리형 또는 사슬형 에스테르 (esthers), 고리형 또는 사슬형 아마이드 (amides), 아민기 또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방향족 용매, 할로겐 원소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칸 (alkanes), 할로겐 원소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켄 (alkenes), 알코올(alcohols), 물, 이온성 액체 (ionic liquids)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67 67
제1항 또는 제35항에 따른 화학식 1의 플러렌 유도체 또는 화학식 11의 플러렌 유도체;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68 68
제67항에 있어서, 고분자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69 69
제68항에 있어서, 고분자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아로마틱폴리아마이드, 폴리아파이드, 폴리스타이렌,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열방성액정고분자,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키톤, 폴리아릴레이트, 폴리메틸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1,4-부탄디올공중합체, 스타이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불소계수지, 폴리비닐크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신디오택틱 폴리스타이렌, 폴리노보넨, 에폭시계 수지, 및 페놀수지로부터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0027141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2 WO2010027141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0027141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2 WO2010027141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학술진흥재단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유무기복합체연구 나노유무기복합체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