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장시간 전하 저장 DRAM 소자와 그 동작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17169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장시간 전하 저장이 가능한 DRAM 소자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DRAM 소자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채널 영역; 상기 채널 영역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 영역; 상기 게이트 절연막 영역 상에 형성되는 플로팅 게이트 영역;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 상에 형성되는 전이층 영역; 및 상기 전이층 영역 상에 형성된 채, 기준 전위 이상 값의 전위가 인가됨에 응답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과의 전위차를 생성하고, 상기 전위차에 의한 전이 전류를 발생시켜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하를 방출시키거나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하를 반입시키는 컨트롤 게이트 영역을 포함한다.
Int. CL H01L 27/108 (2006.01.01) G11C 11/402 (2006.01.01) H01L 29/78 (2006.01.01)
CPC H01L 27/10802(2013.01) G11C 11/402(2013.01) H01L 29/7841(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185588 (2021.12.23)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20442 (2022.08.3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023886   |   2021.02.23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12.23)
심사청구항수 2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양규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김명수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양성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길 ** (논현동) 삼성빌딩 *층(피앤티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12.23 수리 (Accepted) 1-1-2021-1490308-1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기판 상에 형성되는 채널 영역; 상기 채널 영역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 영역; 상기 게이트 절연막 영역 상에 형성되는 플로팅 게이트 영역;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 상에 형성되는 전이층 영역; 및 상기 전이층 영역 상에 형성된 채, 기준 전위 이상 값의 전위가 인가됨에 응답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과의 전위차를 생성하고, 상기 전위차에 의한 전이 전류를 발생시켜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하를 방출시키거나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하를 반입시키는 컨트롤 게이트 영역을 포함하는 DRAM 소자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컨트롤 게이트 영역은,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하를 방출시켜 읽기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하를 반입시키는 쓰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 소자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컨트롤 게이트 영역은,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과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하가 상기 전이층 영역에 의한 에너지 장벽을 통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채널 영역의 저항 상태를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읽기 동작 또는 상기 쓰기 동작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 소자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컨트롤 게이트 영역의 면적 또는 상기 전이층 영역의 면적은,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 소자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컨트롤 게이트 영역은, 금속, 2종 또는 3종 금속 합금, n+ 다결정 실리콘, p+ 다결정 실리콘 또는 실리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 소자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이층 영역은, 실리콘(Si), 게르마늄(Ge), Ⅲ-V족 화합물, 2-D 물질, 질화규소(Si3N4), 질화막(Nitride),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SiON), 실리콘 산화물(SiO2), 고체 산화막(Oxide), 알루미늄 옥사이드(Al2O3), IGZO, 하프늄 옥사이드(HfO2), 전이층 물질, 반도체 물질 또는 고체 전해질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 소자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은, 상기 채널 영역의 구조에 따라 평면형 게이트(planar-gate) 구조, 다중 게이트(multiple-gate) 구조 및 전면 게이트(Gate-all-around) 구조를 포함하는 돌출형 게이트 구조 또는 매립형 게이트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 소자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은, 핀펫(FinFET), 트라이 게이트(Tri-gate) MOSFET, 파이 게이트(Π-gate) MOSFET, 오메가 게이트(Ω-gate) MOSFET, 게이트 올어라운드(Gate-all-around) MOSFET, 벌크 핀펫(Bulk finFET) 또는 벌크 게이트 올어라운드(Bulk gate-all-around) MOSFET 중 어느 하나에서 사용되는 상기 돌출형 게이트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 소자
9 9
제7항에 있어서,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은, 버리드 게이트(Buried gate) MOSFET, 리세스드 게이트(Recessed gate) MOSFET, 스페어 쉐입드 리세스드 게이트(Sphere-shaped recessed gate) MOSFET, 새들 핀펫(Saddle finFET), 그루브 게이트(Groove gate) MOSFET 또는 브이-그루브 게이트(V-groove gate) MOSFET 중 적어도 하나에서 사용되는 상기 매립형 게이트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 소자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은, 금속, 2종 또는 3종 금속 합금, n+ 다결정 실리콘, p+ 다결정 실리콘 또는 실리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 소자
11 11
제1항에 있어서,상기 DRAM 소자가 수평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채널 영역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DRAM 소자가 수직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채널 영역의 상하 양단에 형성되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더 포함하는 DRAM 소자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은, n형 실리콘, p형 실리콘 또는 금속실리사이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 소자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은, 상기 n형 실리콘 또는 상기 p형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경우, 확산(Diffusion), 고상 확산(Solid-phase diffusion), 에피택셜 성장(Epitaxial growth),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 이온 주입(Ion implantation) 또는 후속 열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 소자
14 14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은, 상기 금속실리사이드로 형성되는 경우, 도펀트 편석(Dopant segregation)을 이용하여 접합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 소자
15 15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채널 영역,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 소자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채널 영역,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은, 실리콘(Silicon), 게르마늄(Germanium), 실리콘 게르마늄(Silicon-germanium), 인장 실리콘(Strained silicon), 인장 게르마늄(Strained germanium), 인장 실리콘 게르마늄(Strained silicon-germanium) 및 절연층 매몰 실리콘(Silicon on insulator; SOI) 또는 3-5족 반도체 물질들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 소자
17 17
제1항에 있어서,상기 채널 영역은, 플래너(Planar) 구조, 핀(fin) 구조, 나노시트(Nanosheet) 구조, 나노와이어(Nanowire) 구조를 포함하는 돌출형 채널 구조 또는 매립형 채널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 소자
18 18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채널 영역은, 핀펫(FinFET), 트라이 게이트(Tri-gate) MOSFET, 파이 게이트(Π-gate) MOSFET, 오메가 게이트(Ω-gate) MOSFET, 게이트 올어라운드(Gate-all-around) MOSFET, 벌크 핀펫(Bulk finFET) 또는 벌크 게이트 올어라운드(Bulk gate-all-around) MOSFET 중 어느 하나에서 사용되는 상기 돌출형 채널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 소자
19 19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채널 영역은, 버리드 게이트(Buried gate) MOSFET, 리세스드 게이트(Recessed gate) MOSFET, 스페어 쉐입드 리세스드 게이트(Sphere-shaped recessed gate) MOSFET, 새들 핀펫(Saddle finFET), 그루브 게이트(Groove gate) MOSFET 또는 브이-그루브 게이트(V-groove gate) MOSFET 중 적어도 하나에서 사용되는 상기 매립형 채널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 소자
20 20
기판 상에 형성되는 채널 영역; 상기 채널 영역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 영역; 상기 게이트 절연막 영역 상에 형성되는 플로팅 게이트 영역;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 상에 형성되는 전이층 영역; 및 상기 전이층 영역 상에 형성되는 컨트롤 게이트 영역을 포함하는 DRAM 소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기준 전위 이상 값의 전위가 인가됨에 응답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과의 전위차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위차에 의한 전이 전류를 발생시켜 메모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하를 방출시키는 단계; 또는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하를 반입시키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 소자의 동작 방법
21 21
기판 상에 형성되는 채널 영역, 상기 채널 영역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 영역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 영역 상에 형성되는 플로팅 게이트 영역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구조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트랜지스터 구조체 중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 상에 전이층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이층 영역 상에 컨트롤 게이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RAM 소자의 제조 방법
22 22
기판 상에 형성되는 채널 영역; 상기 채널 영역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 영역; 상기 게이트 절연막 영역 상에 형성되는 플로팅 게이트 영역;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 상에 형성되는 전이층 영역; 및 상기 전이층 영역 상에 형성된 채, 기준 전위 이상 값의 전위가 인가됨에 응답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과의 전위차를 생성하고, 상기 전위차에 의한 전이 전류를 발생시켜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하를 방출시키거나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하를 반입시키는 컨트롤 게이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게이트 영역의 면적 또는 상기 전이층 영역의 면적은, 상기 플로팅 게이트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 소자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