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착용형 로봇의 제어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03486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착용형 로봇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직렬 탄성 구동장치(SEA; Series Elastic Actuator)를 구비한 착용형 로봇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지면에 대한 착용자의 대퇴부 각도를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착용자의 보행 패턴을 판정하여 착용자의 발목 관절로 보행 보조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착용형 로봇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Int. CL B25J 9/00 (2006.01.01) B25J 9/10 (2006.01.01) B25J 9/12 (2006.01.01) B25J 13/08 (2006.01.01)
CPC B25J 9/0006(2013.01) B25J 9/1045(2013.01) B25J 9/126(2013.01) B25J 13/08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144369 (2022.11.02)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063880 (2023.05.0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148617   |   2021.11.02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11.02)
심사청구항수 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공경철 서울특별시 관악구
2 최상욱 대전광역시 유성구
3 고찬영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4 윤용탁 서울특별시 광진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민복기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수로 ***, 지식산업센터 ***호(동천동)(퍼스트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서현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수로 ***, 지식산업센터 ***호(동천동)(퍼스트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11.02 수리 (Accepted) 1-1-2022-1163362-11
2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3.01.31 수리 (Accepted) 4-1-2023-5023571-05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3.04.14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3.05.04 수리 (Accepted) 4-1-2023-5110236-3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직렬 탄성 구동장치(SEA; Series Elastic Actuator)에 구비된 와이어 부재를 통해 착용자의 발목 관절로 보행 보조력을 제공하기 위한 착용형 로봇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착용형 로봇의 보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착용자의 보행 지면에 대한 대퇴부의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하는 대퇴부 경사 각도를 산출하는 대퇴부 경사각 산출단계;상기 산출된 대퇴부 경사각을 기반으로 착용자의 보행 패턴을 감지하는 보행 패턴 감지단계;상기 감지된 착용자의 보행 패턴을 통해 보행 상태 또는 정지 상태를 판단하고, 보행 상태인 착용자의 발목 관절로 요구되는 레퍼런스 보조력을 도출하는 레퍼런스 보조력 도출단계; 및,상기 직렬 탄성 구동장치의 와이어 부재의 장력을 추정하고, 상기 도출된 레퍼런스 보조력을 기반으로 상기 추정된 와이어 부재의 장력을 제어하는 보조력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로봇의 제어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대퇴부 경사 각도 산출단계는,상기 착용형 로봇의 대퇴부에 구비되는 관성 측정 센서(Inertial Measurement Unit; IMU)로부터 대퇴부의 가속도 데이터 및 각속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상기 대퇴부의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제1 대퇴부 경사각 데이터 및 상기 대퇴부의 각속도 데이터로부터 제2 대퇴부 경사각 데이터를 각각 계산하는 과정;상기 제1 대퇴부 경사각 데이터 및 상기 제2 대퇴부 경사각 데이터를 보행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필터링하는 과정; 및상기 필터링된 제1 대퇴부 경사각 데이터 및 제2 대퇴부 경사각 데이터를 합산하여 상기 대퇴부 경사각을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로봇의 제어방법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 대퇴부 경사각 데이터는 저주파 통과 필터를 통과하는 데이터로 필터링되고, 상기 제2 대퇴부 경사각 데이터는 고주파 통과 필터를 통과하는 데이터로 필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로봇의 제어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보행 패턴 감지단계는,상기 대퇴부 경사각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대퇴부 경사각을 저주파 통과 필터로 필터링하는 과정;상기 필터링된 대퇴부 경사각을 수치 미분하여 대퇴부 각속도를 계산하는 과정;상기 필터링된 대퇴부 경사각 및 상기 대퇴부 각속도를 각각 정규화하여 2차원의 원 위상 그래프로 대응시키는 과정; 및상기 원 위상 그래프를 기반으로 착용자의 보행 상태 또는 정지 상태를 구분하는 착용자 보행 패턴을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로봇의 제어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레퍼런스 보조력 도출단계는 보행 패턴이 정지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레퍼런스 보조력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보행 패턴이 보행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레퍼런스 보조력이 증가 후 다시 감소되는 파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로봇의 제어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직렬 탄성 구동장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비틀림 탄성 변형을 감지하기 위한 엔코더; 상기 구동모터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부재; 및 상기 풀리부재에 의해 당겨지거나 풀어지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착용자 발목 관절로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로봇의 제어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보조력 제어 단계는,상기 직렬 탄성 구동장치의 탄성부재의 비틀림 각도를 상기 엔코더를 통해 측정하는 과정;상기 측정된 비틀림 각도와 상기 탄성부재의 스프링 상수를 곱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 토크를 추정하는 과정;상기 구동모터의 출력 토크를 사용하여 상기 와이어 부재의 장력을 추정하는 과정; 및상기 레퍼런스 보조력 도출단계에서 도출된 레퍼런스 보조력에 대응하여 상기 와이어 부재의 장력을 PID 제어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로봇의 제어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보건복지부 한국과학기술원 노인장애인보조기기연구개발사업(R&D)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보조를 위한 유연한 동력전달구조를 갖는 로봇보조기기의 메카트로닉스 요소설계 기술 개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