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고분자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고분자 구조체

  • 기술번호 : KST2019023948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고분자 단량체 층을 기판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산소 공급막을 포함하는 포토마스크를 통해 광을 상기 고분자 단량체 층에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광을 고분자 단량체 층에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단량체 층에 산소 농도 구배를 형성시켜 시간 의존적으로 단량체를 중합하여 구조체를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마이크로 구조체의 제조방법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동적 환경 제어를 통하여 3D 마이크로 구조체를 일관되고 재현성있게 제조할 수 있으며, 구조체의 성장 경로, 성장 속도 및 형상을 제어하여 수요자가 원하는 형상이나 모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원하는 기판 상에 고분자 구조체를 성장시킬 수 있어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Int. CL G03F 7/20 (2006.01.01) G03F 7/028 (2006.01.01) H01L 21/033 (2006.01.01) H01L 21/02 (2006.01.01)
CPC G03F 7/70416(2013.01) G03F 7/70416(2013.01) G03F 7/70416(2013.01) G03F 7/7041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028171 (2016.03.09)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10-1742669-0000 (2017.05.26)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70616)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03.09)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신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김주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심태섭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4 제광휘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원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 성지하이츠빌딩*차 ***호 (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3.09 수리 (Accepted) 1-1-2016-0227386-65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6.08.24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6.12.0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16-0162042-32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6.12.0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6-0888111-44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7.01.18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0060129-66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7.01.18 수리 (Accepted) 1-1-2017-0060125-84
7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7.05.1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334674-78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4.24 수리 (Accepted) 4-1-2019-5081392-49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고분자 단량체 층을 기판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산소 공급막을 포함하는 포토마스크를 통해 자외선을 상기 고분자 단량체 층에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자외선을 고분자 단량체 층에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단량체 층에 산소 농도 구배를 형성시켜 시간 의존적으로 단량체를 중합하여 구조체를 성장시키고,상기 구조체는 상기 자외선 조사 영역에서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상기 고분자 단량체의 Da 값이 0 초과 50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구조체의 성장은 산소 농도가 가장 낮은 영역에서 개시되어, 산소 농도가 낮은 영역에서 높은 영역으로 성장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마이크로 구조체의 제조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방법은 자외선의 조사 방향과 고분자 단량체 층 내부 산소의 확산 방향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마이크로 구조체의 제조방법
4 4
삭제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propylene glycol) diacrylate, PPGDA), 에톡실레이티드 트리메틸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Ethoxylated trimethylopropane triacrylate, ETPT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ω-Diacrylate poly(dimethylsiloxane), DA-PDMS),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methacrylate, UAM), 글리세롤 1,3-디글리세롤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Glycerol 1,3-diglycerolate diacrylate, G1,3-DA), 디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Diurethane dimethacrylate, DUDMA), SU-8 포토레지스트, 헥사디올 디아크릴레이트(Hexadiol diacrylate, HDA),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Polyurethane acrylate, PUA),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아세테이트(Elthylene glycol monopropyl ether acetate, EGPEA) 및 에톡실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Ethoxylated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ETPT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마이크로 구조체의 제조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산소 공급막은 폴리디메틸실록세인(PD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마이크로 구조체의 제조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구조체는 기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마이크로 구조체의 제조방법
8 8
고분자 단량체 층을 기판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직경이 10 ㎛ 내지 500 ㎛인 광투과 패턴을 포함하는 포토마스크를 통해 자외선을 상기 고분자 단량체 층에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자외선을 고분자 단량체 층에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단량체 층에 산소 농도 구배를 형성시켜 시간 의존적으로 단량체를 중합하여 구조체를 성장시키고,상기 구조체는 상기 자외선 조사 영역에서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상기 고분자 단량체의 Da 값이 0 초과 50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 단량체 층은 광 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광 개시제의 농도는 0
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구조체의 성장은 산소 농도가 가장 낮은 영역에서 개시되어, 산소 농도가 낮은 영역에서 높은 영역으로 성장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마이크로 구조체의 제조방법
11 11
삭제
12 12
제8항에 있어서,상기 광투과 패턴은 10 ㎛ 내지 120 ㎛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마이크로 구조체의 제조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광투과 패턴의 직경과 패턴의 간격의 비율(패턴의 직경(D)/패턴의 간격(dgap))은 0
14 14
제8항에 있어서,상기 자외선의 조사시간은 1 초 내지 8 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마이크로 구조체의 제조방법
15 15
제8항에 있어서,상기 기판과 포토마스크 사이의 거리와 포토마스크 패턴의 직경의 비(종횡비)는 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마이크로 구조체의 제조방법
16 16
제8항에 있어서,상기 포토마스크는 산소 공급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마이크로 구조체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원 중견연구자지원 사업 미세유체시스템 기반 부유형 비색계 마이크로센서 개발
2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원 KAIST End Run 사업 “KAIST자체연구산업 End Run Project” 3차원 미세구조체 형성을 위한 Reaction-Diffusion 기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기술 개발